댄 아이브스가 월스트리트에서 월드코인의 이사회에 합류하면서 큰 영향력을 미쳤다. 9월 8일, 미국 나스닥 상장사 에잇코 홀딩스는 아이브스가 새 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에잇코 홀딩스는 오픈AI의 CEO인 샘 올트먼이 개발한 가상화폐 ‘월드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삼기 위해 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사모 투자를 예정하고 있다.
월드코인은 생체인증 스타트업 ‘월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생체정보를 통해 신원을 인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용자는 안구 스캔으로 ‘월드 ID’를 부여받고, 이 과정에서 월드코인을 보상으로 받는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간의 존재 확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 프로젝트는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이브스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월드코인을 단순한 암호화폐로 보지 않았다. 그는 AI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신원 확인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기술의 확산이 제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 프로젝트의 가능성에 대해 “단순한 토큰 전략으로 바라봤다면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 발표 후 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월드코인은 코인베이스에서 24시간 만에 가격이 40% 이상 상승했고, 에잇코 홀딩스의 주가는 하루 만에 약 30배 급등하여 60달러에 가까워졌다. 상장 사흘 전에는 1.45달러에 머물던 주가가 폭발적으로 오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아이브스의 합류가 주가의 주요 전환점으로 여겨지는 사실을 증명하게 됐다.
올해 들어 미국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의 방향이 보다 우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여러 상장 기업들이 ‘비트코인 운용기업’ 모델을 따르며 자산 포트폴리오에 가상 자산을 포함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트래티지(현재 스트래티지로 알려짐)는 비트코인을 약 60만 개 보유하고 있다. 비트마인, 디파이 디벨롭먼트, CES 인더스트리 등 다양한 기업들도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축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가상화폐를 단순한 투자의 수단이 아닌 기업 전략의 일환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의 특정 가상자산 매입 여부나 기술 파트너십이 주가나 기업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댄 아이브스의 합류는 이러한 변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