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터뮤트, 시바이누(SHIB) 113억 개를 코인베이스로 이체…기관의 새로운 유동성 전략 주목

[email protected]



영국계 대형 마켓메이커 윈터뮤트(Wintermute)가 시바이누(SHIB) 약 113억 7,500만 개를 미국 최대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로 이체하는 움직임을 보이며 시장의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대규모 토큰 이동은 단순한 거래에 그치지 않으며, SHIB 가격이 현재 횡보 국면에 있다는 점에서 유동성 조정이나 거래소 간 포지션 재배치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아캄의 온체인 기록에 따르면, SHIB는 윈터뮤트의 핫월렛에서 출발해 다른 주소를 경유한 후 코인베이스로 입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이동된 SHIB의 달러 환산 가치는 약 13만 9,000달러(약 1억 9,271만 원)에 해당하지만, 이는 윈터뮤트 전체 보유량에 비해 소액에 불과하다. 그러나 시장의 타이밍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전개는 쉽게 지나칠 수 없는 사건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윈터뮤트가 여전히 172억 개 이상의 SHIB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이 보유량의 평가액은 약 21만 2,000달러(약 2억 9,468만 원)를 초과하는데,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시장에서는 ‘보유 포기’라기보다는 ‘시장 간 유동성 재조정’ 전략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고빈도 거래 및 알고리즘 전략을 활용하는 기관이 보유 토큰을 거래소로 옮길 경우, 거래량 확대나 스프레드 조정 등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바이누는 0.000012달러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으며, 2024년 고점인 0.000035달러에 비하면 상당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 거래량 또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시장에서 SHIB의 방향성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대량 이체는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 변화가 감지되는 신호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소액이체처럼 보일 수 있지만, 마켓메이커의 움직임은 항상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면서, “특히 거래소로의 유입은 매도 압력보다는 체결 적정성을 고려한 포지션 관리의 일환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윈터뮤트에 의한 이체가 본격적인 매도 신호인지, 아니면 앞으로의 SHIB 유통량 변화에 대한 예고편인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시바이누에 대한 기관의 태도와 시장의 반응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