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니스왑(UNI)의 가격이 최근 몇 주간 하락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바이낸스 거래소에서 고래들이 대규모로 UNI를 인출하고 있는 상황이 포착되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디파이(DeFi) 전반의 거래가 침체된 이 시점에서 고래들의 이러한 행동은 대형 투자자들이 자산을 매도하기보다는 오히려 축적하는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인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최근 바이낸스에서 UNI 고래 지갑의 일일 인출량이 1만 7,400 UNI에 이르르며 3개월 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월간 기준으로도 5,250 UNI가 인출된 것으로 나타나 다수의 고래 지갑이 거래소 외부 지갑으로 자산을 이동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증가된 출금량은 대형 투자자들이 시장의 바닥을 분석하고 포지션을 확대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UNI는 10월 초에 약 7.50달러(한화 약 1만 426원)에서 거래되다가 중순 즈음 6.50달러(약 9,035원) 이하로 급락한 후, 현재는 6~6.80달러(약 8,340~9,459원) 사이에서 매매되고 있다. 가격이 큰 반등 없이 박스권에서 머물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고래 지갑의 대규모 출금은 지지선 확보 및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UNI의 가치에 대한 의문과 거버넌스 구조의 집중화에 관한 논란도 여전히 존재한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인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맷 하우건은 과거 유니스왑의 시가총액이 60억 달러(약 8조 3,400억 원)에 달할 당시 “전통 금융시장에서 과소평가되었다”고 발언하였으나, 현재 UNI의 시총은 41억 3,000만 달러(약 5조 7,407억 원)로 더욱 하락한 상황이다.
게다가 올해 초 아카이브(arXiv)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UNI 토큰과 유동성 풀의 분배 구조가 중앙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최근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토큰터미널에 따르면, UNI 보유 지갑 약 38만 1,600개 중 340여 개 지갑이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거버넌스 권한이 소수에 집중되어 있다는 비판적인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UNI 고래들의 움직임은 유니스왑 생태계에 새로운 모멘텀을 제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긴 침체기를 지나고 있는 시점에서 대형 투자자들이 조용히 UNI를 매집하고 있다는 점은 시장 전반에서 긍정적인 반전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UNI 가격의 상승 모멘텀을 기대해볼 만한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