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경고, AI가 40%의 일자리에 영향 주고 국가 간 불평등 심화할 것

[email protected]





인공지능(AI)의 시장 가치는 2033년까지 4.8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독일 경제와 비슷한 규모라고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밝혔다. 그러나 이와 함께 AI가 전 세계적으로 40%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이는 국가 간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경고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의 잠재력은 생산성 향상 및 디지털 혁신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 혜택은 매우 집중되어 있어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AI 기반 자동화의 이점은 자본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개발도상국에서는 저렴한 노동력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AI로 인한 실업 문제와 불평등은 오래된 우려 사항으로, 국제통화기금(IMF)도 1년 이상 전부터 비슷한 경고를 해왔다. 최근 세계 경제 포럼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고용주의 41%가 AI가 대체 가능한 직원 수를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일자리 손실에 대한 걱정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UNCTAD 보고서는 AI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전 세계 지출의 40%가 미국과 중국 등 단 100개 기업에 집중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주요 기술 기업들은 AI 붐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들의 시장 가치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의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수준에 이른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기술력이 국가와 기업 간에 집중되는 현상은 국가 차원에서도 불균형을 초래하며 많은 나라들이 AI 혁신에서 뒤처질 위험이 있다. UN은 특히 많은 개발도상국(118개국)이 주요 AI 거버넌스 논의에서 배제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이들의 참여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AI가 단순히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근로자를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재교육과 업스킬링에 대한 적절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개발도상국이 뒤처지지 않도록 AI 규제와 윤리적 기준 수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UNCTAD는 포괄적인 성장을 위한 몇 가지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이들은 AI의 공개 선언, 공동 AI 인프라의 구축, 오픈소스 AI 모델 사용, AI 지식 및 자원 공유 이니셔티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오픈소스란 소스 코드가 웹에 공개되어 수정 및 재배포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AI의 접근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AI는 혁신과 공동 번영을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지만, 각국이 적극적으로 그 방향을 설정해야만 한다”며, 전략적 투자, 포괄적 거버넌스, 국제 협력이 AI가 모두에게 혜택을 주도록 하는 핵심 요소라고 결론지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