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란의 핵 합의(JCPOA) 위반을 이유로 10년 만에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란 정부는 이에 대해 “법적 근거가 없는 불법적 결정”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국가 이익을 수호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반면, 이스라엘은 이번 제재 복원이 “이란의 핵 프로그램 위반에 대한 중요한 대응”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유엔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안보리 결의 2231호에 따라 이란에 대한 제재 복원을 공식화했다. 복원된 제재에는 이란의 석유, 은행 및 금융 분야에 대한 엄격한 제한과 무기 금수 조치가 포함된다. 또한, 우라늄 농축 금지와 탄도 미사일 기술 이전 금지, 관련 개인 및 기관에 대한 자산 동결 조치도 다시 시행된다.
이란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폐기된 결의를 복원하는 것은 정당할 수 없다”며, 국권과 이익을 단호히 수호하고 어떠한 외부의 훼손 시도에도 적극 대응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제재위원회 및 전문가 패널을 포함한 제재 메커니즘을 복원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차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번 제재 복원으로 인해 이미 40%를 넘는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란의 경제 상황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제재 복원 소식이 전해지자 이란 리알화는 한때 달러당 112만 리알까지 폭락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핵 합의 당시(달러당 3만2000리알)와 비교할 때 통화 가치가 35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셈이다.
반면 이스라엘 외무부는 유엔의 제재 복원을 환영하며 “핵 무장 이란을 저지하기 위한 분명한 목표에 대해 중요한 진전을 이룬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그 확대 가능성은 중동 지역의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결국, 유엔의 이번 제재 복원은 이란과 그 주변국, 특히 이스라엘 간의 긴장을 한층 더 고조시킬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에 따른 국제 정치와 경제는 계속해서 변동성을 띨 것으로 예상되며, 이란의 내부 경제와 사회적 대응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