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이 최근 다시 10만 달러를 넘어서며,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탈한국 현상이 한층 두드러지고 있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비트코인은 유동성에 민감한 자산으로서 그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와 함께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이달 들어 11조 원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현재,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은 10만61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9일에는 수익 실현으로 인해 9만4000달러까지 하락했으나, 이틀 만에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부합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를 높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국 주식 시장과 비트코인 등 위험 자산들은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은 자본 유입이 지속되고 있으며, 가상자산 분석 업체 디파이라마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2018억 달러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다시금 경신했다. 이는 올해 초의 1304억 달러와 비교해 무려 54.75% 증가한 수치로, 시장에 대한 신뢰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유입도 가상자산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있다. 11일 기준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2억2310만 달러의 자본이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0거래일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코인 시장은 상황이 정반대이다. 이달 들어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무려 11조 원을 초과했으며,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달 말까지 지난달의 거래량인 16조1705억 원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 전후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급증했으며, 계엄 사태 일주일 전에는 하루 평균 7284억 원이 거래되었던 반면, 이후에는 하루 평균 1조222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불안정한 국내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해외 거래소를 통해 거래를 원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국내 코인거래소들이 신규 상장을 늘려 감시가 덜한 해외 거래소와 차익 거래를 시도하는 투자자들도 눈에 띈다. 이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국내 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도 글로벌 시장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