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가격이 최근에 접근한 사상 최고치인 4,950달러(약 6,886만 원)에서 잠시 하락해 4,300달러(약 5,977만 원)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기관의 수요와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출시된 현물 ETF에 대한 높은 관심이 가격을 지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의 현물 이더리움 ETF는 2024년 7월부터 거래를 시작한 후 눈에 띄는 자금 유입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11일에는 단 하루에만 10억 2,000만 달러(약 1조 4,178억 원)가 유입되어 역대 최대 하루 유입 기록을 세웠으며, 누적 순유입 규모는 137억 달러(약 19조 403억 원)를 넘어서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이 ETH 관련 ETF 상품에 자금을 투자함으로써 장기적인 상승장을 이끌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ETF 유입세는 최신 동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국의 Farside Investors에 따르면 최근 목요일 기준으로도 하루 순유입액이 3,910만 달러(약 543억 원)에 달해 6거래일 연속 순유입이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적인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높은 것을 증명하고 있다.
ETF 수요 외에도 최근 기업 재무처에서의 이더리움 채택 증가도 주목할 만하다. 여러 대형 기업들이 이더리움을 준비금으로 보유하거나,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 참여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ETH의 실질적인 수요 기반이 더욱 넓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 비트코인을 국고 자산으로 보유했던 마이크로스트래터지의 사례와 유사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채택은 이더리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으며, 실질 사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시각을 만들어가고 있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도 이더리움의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최근 4월 이후 ETH는 비트코인 대비 195% 이상 상승하며 ‘알트코인 시즌’이 도래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러 지표에 따르면 이번 사이클에서 ETH 가격이 12,000달러(약 1억 6,68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강세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비록 단기적으로 차익 실현을 위한 매물이 출회되어 가격 조정이 있었지만, 기관의 자금이 유입되고 실사용이 확장되고 있는 구조적 강세 흐름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몇 개월 내 이더리움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결국, 이더리움 가격은 강력한 지지세력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