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고래들이 최근 24시간 동안 약 26만 ETH(약 5,985억 원)를 대규모 지갑으로 매입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들 고래의 총 보유량은 2,960만 ETH에 근접하며, 이는 최근 몇 주에서 가장 큰 규모의 단일 매수로 기록되고 있다. 특이하게도 이러한 대규모 매수는 이더리움의 가격이 4,400달러(약 611만 원)에서 정체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발생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번 고래 매집은 단순한 시장 반응을 넘어서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8월 중순 이더리움이 3,600달러(약 501만 원)에서 4,800달러(약 667만 원)로 급등할 당시에도 대규모 거래소 출금 현상이 동반됐다. 당시 하루 최대 280만 ETH(약 6조 4,120억 원)가 거래소에서 빠져나가며, 이는 투자자들이 상승세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보유 자산을 외부 지갑으로 이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래들의 대규모 매수는 자금 흐름과 함께 투자자의 심리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9월 2일 기준으로 거래소 자금 조달금리는 0.02에 근접하였으며, 8월 동안 양의 값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공매수(롱) 포지션이 우세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전체적인 상승 기대 심리가 매우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높은 자금 조달금리는 또한 시장 조정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어, 투자자들은 이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트레이더이자 분석가인 멀린(Merlijn)은 이더리움이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차례 저항을 받아왔던 장기 저항선을 최근에 돌파했으며, 이를 지지선으로 되돌림하는 과정에 진입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더리움은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이번 움직임이 새로운 상승 사이클의 시작을 알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멀린은 중장기 목표가로 7,000달러(약 973만 원) 이상의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멀린은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이 글로벌 유동성 지표인 M2 통화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이더리움 가격이 2,750달러(약 382만 원) 이하였던 구간이 고래들이 집중적으로 매수했던 시점이며, 현재는 기존의 저점을 벗어난 강세장의 시작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 고래 매수, 거래소 유출의 가속화, 기술적 지지선의 돌파, 레버리지 기반 매수세의 강화 등 복합적인 요인들은 이더리움 가격 상승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그러나 과열 신호에 따라 단기 변동성 위험이 상존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