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고래 투자자, 바이낸스에 약 869억 원 규모의 ETH 입금하며 3배 수익 실현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 고래 투자자가 최근 바이낸스(Binance)에 약 14,275 이더리움(ETH), 한화로 약 869억 원(62,480,000달러)을 입금한 사실이 밝혀지며 주목받고 있다. 이 고래의 긴 투자를 통한 수익 규모는 무려 156,000,000달러(약 2,168억 원)에 달하고 있어, 크립토 시장에서의 대규모 자금 이동을 나타내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지갑은 약 2년 전 이더리움의 저가 시점에 총 64,400 ETH를 평균 단가 1,882달러(약 261만 원)에 매집하였다. 이는 당시 약 121,000,000달러(약 1,682억 원)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후 이 투자자는 이더리움이 지분증명(PoS)으로 전환될 당시 보유량을 스테이킹하여 수익 실현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이 투자자는 2024년 3월 이후 여러 차례 상승장 동안 대규모 매도를 단행해 왔으며, 이번 바이낸스에 추가 입금된 양을 포함하면 총 23,365 ETH를 평균 단가 4,179달러(약 581만 원)에 매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약 1,358억 원(97,640,000달러)에 달하며, 전체 수익은 초기 투자액 대비 거의 세 배에 이르는 성과를 달성한 셈이다.

시장 분위기 또한 이더리움 차익 실현의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기술적 지표상으로 최근 이더리움은 4,400달러를 돌파한 이후 조정을 겪고 있으며, 4,000~3,850달러 사이에서 횡보할 가능성이 크다. 거래량의 감소와 상대강도지수(RSI)가 중립 구간에 진입하는 등 큰 투자자들의 매도세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규모 자금 이동이 단기 차익 실현의 목적인지, 아니면 시장 전반에 걸친 ‘분산 신호’인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장기 보유와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결합한 전략이 대형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음을 이번 사례가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개별 투자자 입장에서도, 시장 흐름을 정확히 분석하여 진입과 퇴출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 동향은 이더리움의 미래 가치와 함께 더욱 신중한 투자 결정을 요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