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기반 킨토 네트워크, 해킹과 자금난 악재로 다음 달 운영 중단…타격받은 토큰 80% 폭락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 기반의 레이어2 프로젝트 킨토 네트워크가 오는 9월 말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발표하면서, 거버넌스 토큰 킨토(Kinto)의 가격이 80% 이상 급락했다. 수개월에 걸친 기술적 문제와 재정적 압박이 누적되며 결국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된 것이다.

킨토 팀은 최근 블로그를 통해 블록체인 운영 종료 소식을 공식화했다. 팀은 7월 발생한 프로토콜 해킹 사건으로 약 577 ETH, 당시 시세로 약 160만 달러(한화 약 22억 2,400만 원)의 손실을 입었다. 이 피해 이후 거래 재개를 위해 100만 달러(약 13억 9,000만 원)의 부채 자금을 마련했으나,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투자 심리 위축과 추가 자금 확보 실패가 겹치면서 회생 가능성이 거의 사라진 상태였다.

팀은 “우리는 지난 7월 이후 보수를 전혀 받지 않고 운영을 지속해왔다”며 “마지막 자금 조달 시도가 무산됨에 따라, 계속 운영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판단했다. 사용자와 채권자 보호를 위해 구조를 정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킨토의 실패는 최근 많은 소규모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마주한 지속 불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자금 유동성 위기를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다. 일부 프로젝트는 생태계 내에서의 수요 감소와 금융 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로 인해 레이어2 생태계에서도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결국 킨토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중요한 레이어2 프로젝트 중 하나로 존재했지만, 각종 악재로 인해 이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의 특성과 리스크 요소들이 다시 한 번 드러났으며, 투자자와 개발자 모두가 새로운 접근 방식과 더 구체적인 리스크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실패 사례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경고로 작용하며, 향후 투자자를 포함한 모든 관계자들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현재의 시장 환경 속에서 더 많은 프로젝트들이 도산하거나 자금난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장이 안정세를 찾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모델과 강력한 재정적 기반이 필수적일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