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더리움 스테이킹에서 18만 ETH가 순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면서 32 ETH를 예치해야 검증자가 되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스테이킹 구조를 도입했다. 2023년 4월에는 샤펠라 업그레이드를 통해 출금 기능이 활성화되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유연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리도와 로켓풀 등의 유동성 스테이킹 서비스로 더 작은 규모의 아이디어도 참여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예치 자산의 유동화와 디파이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8월 25일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총 스테이킹 자산은 3,607만9847 ETH로, 이전 주의 3,627만2296 ETH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이 수치는 전체 이더리움 유통량의 29.14%에 해당한다. 8월 18일부터 8월 24일 사이 신규 예치는 14만5285ETH에 그쳤고, 이는 전주 대비 약 61.08% 감소한 수치로 나타났다. 특히 8월 18일에만 대규모 신규 예치가 7만1270ETH로, 주간 예치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후 22일부터 24일까지는 신규 예치가 각각 417ETH, 177ETH, 221ETH로 급격히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안 보상 출금량은 1만9526ETH로 전주 대비 약 6.36% 증가했지만, 원금 출금량은 31만2348ETH로 전주 대비 약 38.51% 감소하였다. 특히 8월 19일과 22일에는 각각 6만2784ETH와 6만2097ETH의 대규모 출금이 발생하여 주간 총 출금량이 급증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1주간의 전체 순변동은 -18만6589ETH로 집계되었다.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지금까지 스테이킹 순유입량은 1473만5557 ETH, 보상분을 제외한 순유입량은 1791만6353 ETH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이더리움 스테이킹 연 수익률(APR)은 8월 20일 2.96%에서 21일 2.93%로 하락한 후 22일 2.92%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다가 24일과 25일에는 2.93%로 약간 반등했다.
현재 활성 검증자 수는 108만2261명으로 지난주에 비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스테이킹을 새로 시작하려는 입장 대기열에는 40만4500ETH가 대기 중이다. 예상 대기 시간은 약 7일 1시간이며, 스테이킹을 해제하려는 퇴장 대기열에는 84만6142ETH가 대기 중이고, 퇴장 후 실제 출금 주소로 자금이 이동되기까지는 평균 9.4일이 소요된다.
스테이킹 유형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리퀴드 스테이킹이 전체의 27.9%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앙화 거래소(CEX)를 통한 스테이킹은 25.3%, 스테이킹풀은 19.5%, 미확인 검증자는 19.4%, 리퀴드 리스테이킹은 7.3%, 개별 검증자는 0.6%의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가장 큰 점유율을 보유한 스테이커는 리도(약 874만9757ETH)로 24.2%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바이낸스(395만9328ETH, 8.4%), 코인베이스(253만8915ETH, 7.0%)가 있다. 최근 1개월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