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신규 예치량 50% 급감…한 주간 순유출 41만 ETH 기록

[email protected]



최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테이킹 신규 예치량이 50% 감소하며 시장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023년 9월 8일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스테이킹 총량은 3,607만6250 ETH로, 이는 전체 이더리움 유통량의 약 29%에 해당한다. 그러나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의 한 주 동안 신규 예치된 양은 단 1,923 ETH로, 이전 주의 3,897 ETH와 비교해 약 50.66% 떨어졌다.

스테이킹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는 가운데, 9월 6일에는 신규 예치가 678 ETH로 주간 예치의 35.3%를 차지했지만, 5일과 7일에는 각각 30 ETH, 72 ETH로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동안의 보상 출금은 18,352 ETH로 전주 대비 약 2.65% 증가했으며, 원금 출금은 395,530 ETH로 소폭 감소한 1.38% 감소세를 보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9월 3일에 발생한 115,102 ETH의 대규모 출금이다. 이후 4일, 6일, 7일에도 각각 57,568 ETH, 41,014 ETH, 49,792 ETH의 출금이 이어지며 주간 총 출금량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신규 예치가 줄어들고 원금 출금이 지속되어 1주간의 스테이킹 전체 순변동은 -41만1959 ETH로 집계되었다.

‘상하이 업그레이드’ 이후 스테이킹의 순유입량은 1,469만3389 ETH, 보상분을 제외한 순유입량은 1,791만36 ETH로 나타났다. 이더리움 스테이킹의 연 수익률(APR)은 2.85%로 보고되었으며, 최근 4일 간의 수익률은 차츰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이날 소폭 조정되었다.

현재 활성 검증자 수는 1,060,598명으로, 전주 대비 소폭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스테이킹을 새로 시작하려는 입장 대기열에는 813,292 ETH가 대기 중이다. 예상 대기 시간은 약 14일 3시간으로, 스테이킹을 해제하려는 퇴장 대기열에는 650,534 ETH가 대기 중이며, 예상 대기 시간은 약 11일 7시간이다.

스테이킹 형태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리퀴드 스테이킹이 전체의 27.7%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앙화 거래소(CEX)를 통한 스테이킹이 25.0%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스테이킹 풀, 미확인 검증자, 리퀴드 리스테이킹이 각각 20.7%, 18.9%, 7.2%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스테이커 순위를 보면 리도(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가 약 8,667,773 ETH로 최대 점유율인 23.9%를 유지하고 있으며,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가 각각 8.6%, 6.8%로 뒤를 잇고 있다. 최근 한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스테이커는 블록대몬(+15%)과 킬른(+6%)이었으며, 이와 반대로 이더파이(-5%)와 피그먼트(-3%)는 감소세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환경은 최근 급격한 변화 속에 놓여 있으며, 신규 예치량의 감소와 대규모 출금이 주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시장 흐름과 수익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