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온체인 활동이 최근 1년간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해당 토큰의 공급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현재 활성 지갑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기관 자금 유입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지지 구간이 유지된다면 ETH는 향후 4,000달러(약 5,560만 원)를 재차 시도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온체인 분석가 캐스 아브(Cas Abb)에 따르면, 최근 이더리움의 일일 트랜잭션 수는 지난 1년 중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으며, 활성 및 신규 지갑 주소 수 또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시세 변동이 아닌, 실사용자 기반 확대와 네트워크 채택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암호화폐 트레이더 멀레인(Merlijn The Trader)은 이더리움의 일일 활성 지갑 수가 67만 4,000개를 넘어서며, 지난 사이클 최고치를 회복했다고 분석했다. 2021년에도 비슷한 지갑 수의 급증이 강력한 상승장의 전조로 작용했던 만큼, 이번 추세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EIP-1559 소각 메커니즘도 이더리움의 공급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업그레이드는 네트워크 수수료의 일부를 자동으로 폐기하여 ETH의 순발행량을 사실상 ‘제로’로 수렴하게 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 부족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공급 제한은 강한 가격 상승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더불어 기관 자금 유입도 안정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제공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 동안 이더리움 ETF에는 1억 5,430만 달러(약 2,145억 원)의 순유입이 확인되었다. 이는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여전히 자산을 매입하려는 투자자들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은 약 3,550달러(약 494만 원)로, 지난 24시간 동안 3% 상승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약 9% 하락한 상태이다. 트레이딩 전문가 미카엘 반데포페(Michaël van de Poppe)는 하방 지원선으로 3,200~3,350달러(약 445만~466만 원) 구간을, 장기 진입 적정 구간으로는 2,950~3,050달러(약 410만~424만 원)를 제시했다.
기술적 지표인 상대강도지수(RSI)는 현재 중립~약세 구간에 위치하고 있어 과매도 상태에는 이르지 않았고, 추가적인 조정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다른 전문가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는 단기 낙폭 관찰을 위해 2,924달러(약 407만 원)와 2,750달러(약 382만 원)의 핵심 지지선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8월은 ETH 가격에 대한 변동성이 큰 시기로, 2021년에는 36%의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2023~2024년 기간에는 두 자릿수 하락을 경험했다. 이번 사이클에서도 비슷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트레이더들은 온체인 지표와 수급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도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이 재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직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아들인 에릭 트럼프(Eric Trump)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번 하락은 매수 기회일 수 있다”는 글을 올리며 ETH 매입을 제안했다. 이러한 발언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결국 이더리움 시장은 공급 감소, 온체인 성장, 그리고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가격 변동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은 주요 지지선의 방어 여부와 추가적인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