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현물 ETF, 4일 유출세를 돌파하고 하루 만에 4,000억 원 유입

[email protected]



미국의 현물 이더리움(ETH) 상장지수펀드(ETF)가 4일 연속으로 이어진 자금 유출 흐름을 깨고, 다시 자금 유입세로 돌아섰다. 암호화폐 ETF 데이터 플랫폼인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시간) 현물 이더리움 ETF에는 2억 8,760만 달러, 즉 약 4,003억 원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이 반등은 전주 금요일부터 11일까지의 일주일 동안 9억 2,400만 달러(약 1조 2,869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 이탈 후에 나타났다. 특히 9일에는 4억 2,900만 달러(약 5,959억 원)라는 일일 순유출 기록이 세워졌으며, 이는 이달 들어 두 번째로 큰 유출의 규모이다. 그보다 더 큰 유출은 같은 달 4일에 발생한 4억 6,500만 달러(약 6,464억 원)였다.

11일에 가장 큰 자금 유입이 있었던 곳은 블랙록(BlackRock)의 아이셰어스 이더리움 트러스트(ETHA)로, 단일 ETF로는 2억 3,350만 달러(약 3,252억 원)가 유치되었다. 그 뒤를 이어 피델리티(Fidelity)의 이더리움 펀드(FETH)도 2,850만 달러(약 396억 원)를 모으며 뒤를 따랐다. 이외에도 다른 ETF에도 평균적으로 약 600만 달러(약 83억 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이번 순유입으로 미국 현물 이더리움 ETF의 누적 순유입액은 120억 달러(약 16조 6,800억 원)를 넘어섰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기 내에 외부 자금이 재차 유입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침체된 시장 심리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며, 기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있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기관 투자자들은 기술적 요인과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더리움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에 대한 포지션을 늘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더리움 ETF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