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4,400달러 돌파를 앞둔 매도와 강세의 갈림길에 서다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현재 4,200달러(약 5,838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4,400달러(약 6,116만 원)의 저항선 돌파 여부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오랜 하락세를 뒤로하고 강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어 단기 공급 저항선에 근접한 상황이다. 블록체인 분석 업체인 크립토퀀트는 이더리움의 장기 모멘텀 지표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현재 가격 동행 지표로 사용되는 MACD와 매수 거래량이 긍정적인 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더리움의 공급 비율(ESR)이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약 0.16을 기록 중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거래소에서 인출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장기적으로는 매도 압력이 줄어드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바이낸스의 데이터는 상황이 다르다. 2025년 초 이후 바이낸스의 ESR은 증가세를 보이며 현재 약 0.04에 도달했다.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ETH를 재차 거래소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로, 단기적인 매도 가능성이나 유동성 공급, 차익 거래에 대한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바이낸스의 유입 순량(Netflow) 또한 긍정적인 값을 보이며, 거래소 내부에서 매물이 쌓이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 이는 4,400달러 저항 앞에서 이익 실현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재 이더리움은 두 가지 상반된 시나리오에 직면해 있다. 첫째, 바이낸스에서의 유입 압력이 감소하거나 ESR이 안정세를 보일 경우, ETH는 4,400달러를 돌파하고 4,800달러(약 6,672만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과거의 최고가 재도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매도 기세가 커질 경우, 3,950~4,000달러(약 5,495만~5,560만 원) 범위에서 일시적인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시장 참여자들은 여전히 낙관적인 정서를 보이고 있다. 소셜미디어 분석 플랫폼 산티먼트에 따르면, ‘buying’이나 ‘bullish’와 같은 키워드의 사용량이 하락세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아, 개인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만, 지나친 FOMO(놓침에 대한 두려움)는 단기 가격 모멘텀을 둔화시킬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기관의 투자 동향 또한 주목할 만하다. 7월 10일부터 8월 초까지 기관 투자자들은 평균 단가 3,546달러(약 4,933만 원)에 103만 5,000개의 이더리움을 매입했다. 이는 약 43억 9,000만 달러(약 6조 869억 원) 규모로, 기관의 유입이 45%의 반등세와 맞물려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의 발행량도 2022년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25년 8월 9일 기준 유통량이 1억 2,100만 개에 도달했다. 공급 증가 흐름은 ETH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에 새로운 변수를 더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이더리움은 확고한 장기 강세 구조 위에서 단기 매도 압력과의 치열한 충돌을 경험하고 있으며, 향후 거래소별 ESR 및 순유입량 변화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