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4,600달러 회복…’조용한 상승’ 속 인프라 역할 주목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최근 시장 반등에 힘입어 4,600달러(약 6,394만 원)를 회복하며 투자자들의 자신감을 일부 되찾았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가격 상승에 대해 과도한 기대를 경계하고 있습니다. 디파이(DeFi) 중심의 프로토콜인 커브파이낸스는 9월 중 큰 ‘이벤트성 촉매’는 없을 것이라고 발언하며, 이더리움의 진정한 강점은 기본 인프라로서의 역할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커브파이낸스 측은 이더리움을 “디파이의 운영 체제”라 지칭하며, 가격 하락과 상관없이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펀더멘털은 강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기관의 채택 속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기반의 발전이 오히려 더 의미 있는 측면으로 강조되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일상적인 뉴스로 다뤄지지 않지만,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로 이더리움이 자리 잡는 것은 이런 구조적 진전 덕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재단은 최근 ‘트릴리언 달러 보안’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를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경험(UX) 강화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보안 개선을 목표로 하며, 특히 지갑 보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안전한 키 관리와 거래 서명은 사용자 신뢰의 핵심 요소로 판단되어, 무분별한 서명을 유도하는 ‘블라인드 사인’을 줄이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이 수천만 명이 아닌 수십억 사용자와 수조 원 규모의 자금을 안전하게 담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이더리움 생태계 내 스마트 계약 생성이 최근 다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한 투자 심리의 회복이 아닌, 실질적인 네트워크 활용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스마트 계약 트렌드는 시장 순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2020~2021년 디파이와 NFT 붐 기간 중에 이러한 증가세가 두드러진 바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본격적으로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편, 시장 일각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이더리움이 향후 5,000달러(약 6,950만 원)를 넘어설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규모 이벤트보다 기술력과 네트워크의 효용성을 기반으로 한 조용한 상승세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이들의 분석은 이더리움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경제의 불가결한 요소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