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5일 오전, 암호화폐 시장이 전반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더리움이 3,680.77달러(약 510만 원)로, 전일 대비 3.97% 상승하여 주목받고 있다. 최근 30일 동안 이더리움의 상승률은 무려 46.21%에 달하며, 90일 기준으로도 100.62%에 이르는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비트코인은 114,701.47달러(약 1억 5,894만 원)로 거래되며, 24시간 기준 변동률이 -0.02%로 사실상 변동이 없는 상태다. 비트코인은 지난 일주일 동안 2.65% 하락했지만 30일 기준으로는 5.98% 상승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상승세는 기존의 비트코인 상승 둔화를 보완하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기적 대체 투자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리플은 현재 3.06달러(약 4,242원)로 확인되며 24시간 기준 2.03% 상승했으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비해 그 흐름은 뚜렷하게 갈리고 있다. 최근 일주일간 리플은 1.8% 하락하면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30일 기준으로는 37.98%, 60일 기준으로는 45.27%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리플의 시가총액은 약 1,815억 달러(약 251조 원)로, 비트코인(약 2.28조 달러) 및 이더리움(약 4,443억 달러)에 비해 작지만 상승 시 더 큰 탄력을 보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현재 이더리움의 상승 가속이 이뤄짐에 따라, 시장은 다음 추세 전환을 기다리고 있다. 바이비트에서 제공하는 포지션 수익 분포를 보면, 총 531건의 파생상품 포지션 중 434건, 즉 약 82%가 수익 구간에 위치해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 강한 낙관 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더리움의 상승세가 이러한 흐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환경에 힘입어 포지션 청산이나 레버리지 확대를 통해 강세 쪽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 외부 요인에 따라 수급이 변화하면 급격한 조정이 우려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특히 이더리움의 최근 상승률로 인해 신규 진입자들이 상당 수익을 보고 있어, 이는 롱 포지션에 대한 수요가 중심이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코인은 박스권의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높은 포지션 수익 비율로 인해 하락 방어 심리가 우세한 상태다. 리플은 일부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했으나, 파생상품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파생상품 시장 내 포지션 이동과 함께 새롭게 형성될 매수세 및 청산세의 분포와 긴밀히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은 이번에 보여준 6.56%의 급등과 함께 3,728달러로 상승하여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거뒀다. 단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4,465달러 돌파를 목적으로 하는 상승세로 분석된다.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과 신규 프로젝트들의 진입은 시장 유동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관들의 수요 증가 및 ETF 승인 기대감 등이 이와 관련된 중장기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