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에서 이더리움(ETH)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5거래일 동안 이더리움 ETF에 유입된 자금이 비트코인(BTC) ETF의 10배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자금 흐름의 뚜렷한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목요일 이후 현물 이더 ETF로 총 18억 3,000만 달러(약 2조 5,437억 원)의 자금이 유입된 반면, 같은 기간 비트코인 ETF에 들어간 자금은 1억 7,100만 달러(약 2,377억 원) 수준에 그쳤다. 이런 결과는 이더리움이 기관 수요 측면에서 현저히 우위를 점했다는 분석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자금 유입의 흐름은 이번 주에도 지속되고 있다. 수요일 하루 동안 9개의 이더리움 ETF에 3억 1,030만 달러(약 4,306억 원)가 순유입된 반면, 11개의 비트코인 ETF에는 8,110만 달러(약 1,127억 원)의 자금만 들어갔다. 이처럼 이더리움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면서,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의 가격 또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은 화요일 저점을 기준으로 약 5% 상승하며 빠른 회복세를 보였지만,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2.8%에 불과한 상승폭에 그쳤다.
이러한 이더리움 중심의 자금 재편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 투자자이자 교육자인 앤서니 사사노(Anthony Sassano)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현재 자금 흐름을 “잔혹하다(brutal)”고 표현하며, 지금의 시장 상황을 강하게 강조했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강자였던 비트코인 ETF와 비교해 이더리움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기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ETF 시장 내 암호화폐 간 비중 변화는 물론이고, 장기적인 가격 흐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기관 투자자들의 이더리움 집중 투자 경향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이더리움 ETF에 대한 자금 유입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가치 재조정과 함께 기관 중심의 투자 전략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