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ETF, 6,209억 원 순유출…비트코인 중기 바닥 가능성 제기

[email protected]



최근 이더리움(ETH)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감소하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최근 14일 평균 순유입 규모가 급감함에 따라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던 ETF 자금 흐름이 정체되는 양상이다. 반면, 비트코인(BTC)은 현재 1억 5,012만 원(약 108,000달러)에서 1억 5,707만 원(약 113,000달러) 사이에서 움직이며, 시장 전체가 관망세로 돌아서는 형국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더리움 ETF는 최근 이틀 연속으로 두 번째로 많은 단일 일간 유출량을 기록했다. 8월 말까지 하루 평균 5만5,000~8만5,000 ETH가 유입되며 활발한 강세장을 만들어냈지만, 8월 마지막 주부터 변화가 감지되었다. 지난주에는 하루 평균 -4만1,400 ETH가 순유출되었으며, 특히 금요일에는 약 10만4,100 ETH가 빠져나갔다. 이는 당시 시가 기준으로 약 6,209억 원(447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비트파이넥스는 “ETF가 가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전통 금융기관(TradFi)의 위험 선호도가 약화되면서 ETF의 수급에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비해 ETF와 금융기관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은 점이 두드러진다.

흥미로운 점은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방식에서도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은 주로 현물 ETF를 통해 매수 수요가 집중되는 반면, 이더리움은 현물과 파생상품 전략(캐시 앤 캐리) 수요가 혼합되어 있어 헤지와 차익거래 성격이 강한 유입이 나타난다. 이 결과, 비트코인은 명확한 방향성을 유지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투기성과 구조화된 전략이 혼합된 유동성이 주요한 특징으로 남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편, 비트파이넥스는 9월 중 비트코인이 중기 바닥을 형성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거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다음 분기에 반등을 위한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ETF 자금 흐름이 단순한 수치 이상의 시장 신호임을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상승 탄력을 얻으려면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 회복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중장기 전망과도 밀접하게 연결된 미래 전개를 암시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