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강세장 재현 시 1만 3,000달러 도달 가능성 제기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이번 사이클에서 최대 1만 3,000달러(약 1억 8,07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과거 강세장에서 나타났던 패턴이 반복될 경우 가능하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디파이리포트의 창립자인 마이클 나도(Michael Nadeau)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현재 이더리움은 장기 기술지표인 200주 이동평균선보다 92% 높은 2,400달러(약 334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 2021년 강세장에서는 이더리움이 해당 평균보다 492% 상승하여 4,870달러(약 676만 원)에 도달한 바 있다.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유사한 상승률이 적용된다면 ETH 가격은 최대 1만 3,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보수적인 시나리오에서는 200~400% 상승폭이 예상되며, 이 경우 목표 가격은 각각 7,300달러(약 1,015만 원)와 1만 2,000달러(약 1억 6,680만 원)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펀드스트랫의 톰 리(Tom Lee)도 이더리움이 다섯 자릿수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극단적인 변동성이 수반되는 슈퍼사이클을 예고하고 있다.

또다른 분석가는 이더리움이 2021년과 유사한 구조를 따르고 있다고 언급하며, 당시 최고가를 재돌파하면서 250% 이상 가격이 늘어났던 흐름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이번 사이클의 주요 변수는 ETF와 기관 투자자의 유입이라고 덧붙였다. ETH가 비트코인(BTC) 시가총액의 35%에 도달하고, BTC가 15만 달러(약 2억 850만 원)로 상승하는 경우, ETH는 8,600달러(약 1,195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도 발표됐다. 현재 ETH의 시가총액은 BTC의 23.4%에 해당한다.

한편 이더리움은 최근 미국에서 최초의 ETH 스테이킹 ETF가 출시되고, 여러 기관들이 대규모로 ETH를 매입하면서 시장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그레이스케일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상장지수상품(ETF)이 출시되었으며, 디지털 자산 운용사들은 이미 ETH 전체 공급량의 4.7%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조정 국면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더리움은 2018년 최고점 대비 94%, 2022년에는 80% 이상 하락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8월부터 이어진 박스권에서 변동성을 보이면서 방향성을 모색 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지표 상으로 가격 발견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이에 따라 강세장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러한 전망들은 전문 분석가들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또 다른 강세장을 맞이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