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이더리움은 기업 재무부서가 보유한 전체 디지털 자산 중 약 1%에 불과하지만, 향후 이 수치가 1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권 자금의 유입과 ETF의 수요 증가에 기인하며, 기업들이 이더리움을 비트코인(BTC)보다 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뢰를 얻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는 이더리움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에서 기업의 실제 재무적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기업들이 스테이킹 보상 및 디파이(DeFi)에서의 활용 등 이더리움의 다양한 금융적 옵션을 통해 자산 관리의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지표로 더욱 선명히 드러나고 있다.
실제로,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미국 내 현물 이더리움 ETF의 누적 순유입액은 약 94억 달러에 달하며, 블랙록은 최근 하루에만 1억 3,020만 달러어치의 이더리움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투자 증가 덕분에 이더리움은 최근 BTC를 초과하는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제프 켄드릭 스탠다드차타드 애널리스트는 “기업들이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선호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 내 비중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스테이킹의 이점도 이 같은 산업 변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보유하는 것 외에는 활용 방법이 제한적이나, 이더리움은 스테이킹을 통해 연 3% 정도의 수익률을 제공하며, 디파이와의 연계로 추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규제가 까다로운 국가에서는 이더리움이 회계적으로 더 유연한 처리가 가능해 더욱 매력적인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리스크도 존재한다. 번스타인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기업은 단순 보유에서 벗어나 리스테이킹이나 디파이를 통해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유동성 지연이나 스마트 계약 관련 리스크를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위험 요소는 기존의 전통 자산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것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이더리움 보유는 증가하고 있다. 비트마인, 샤프링크, 비트디지털 등은 7월 한 달 동안 87만 6,000 ETH 이상을 신규 보유하며, 비트마인은 이더리움 보유를 20억 달러 이상으로 늘리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이더리움의 가격 전망 역시 긍정적이다. 최근 ETH는 한때 3,900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 12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최근 한 달 동안 50%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스탠다드차타드는 4,000달러를 목표로 유지하고 있으며, 아서 헤이즈는 1만 달러 도달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톰 리는 무려 6만 달러를 목표로 삼고 있다.
크립토 분석가 크리스 버니스키는 “이더리움은 단기간에 ‘가장 싫어하는 코인’에서 ‘가장 선호하는 자산’으로의 변화를 보였다”고 평가하며 대세 상승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다른 인플루언서인 ‘Crypto Wolf’는 보수적인 예측에서도 ETH가 8,000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낙관적이면 1만 3,000달러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기존 최고가 갱신 후 약 20~25%의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경고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