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기업 자산으로서의 위치 강화를 위한 기관 보유액 4조 원 돌파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의 공동 창립자이자 콘센시스(ConsenSys) CEO인 조 루빈(Joe Lubin)이 최근 기업 차원의 이더리움 도입 확산을 위해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새로운 금융 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루빈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어떤 프로젝트보다도 더 많은 이더리움을 축적할 것”이라며 이더리움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올해 5월에는 나스닥 상장 기업인 샤프링크 게이밍(SharpLink Gaming)의 이사회 의장직을 맡으며 해당 기업의 스포츠 베팅 부문에서 이더리움 중심의 재무 전략으로의 대전환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생소하게 여겨지던 이러한 과정은 현재 기관 차원에서 이더리움을 수용하는 큰 흐름의 일환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루빈은 이더리움이 이미 탈중앙화 인프라이자 프로그래밍 가능 금융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고 강조하며, 스테이킹 기능과 규제적 명확성 증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더리움은 단순히 자산 저장수단에 그치는 비트코인(BTC)과 차별화된 생산적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들의 이더리움 보유 현황은 이러한 트렌드를 더욱 확인시켜 준다. 샤프링크 게이밍은 현재 36만 개 이상의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13억 달러(한화 약 1조 8,070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비트코인 채굴로 유명한 비트마인 이머전(BitMine Immersion)도 최근 이더리움 전략으로의 전환을 발표하고, 단기간에 56만 6,776 ETH를 축적했다. 이로써 이들은 ETH를 보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스테이킹에 참여하여 수익성과 네트워크 기여도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이더리움에 대한 기관의 수요와 신뢰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4월에 1,450달러(약 201만 원)였던 이더리움 가격은 7월에 들어서 3,600달러(약 500만 원)로 급등했다. 이는 기업들이 보유량을 확대하고 투자 심리를 회복하면서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한편, 기술적 진화를 이끌고 있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롤업, 데이터 샤딩 등 스케일링과 탈중앙화를 위한 주요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으며, 디파이(DeFi) 및 실물 금융 적용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은 자칫 보수적 대응으로 전락할 수 있는 금융 환경에서 이더리움의 미래를 밝히는 핵심 인물들이다.

현재까지 상장 기업들이 보유 중인 ETH 총 규모는 32억 달러(약 4조 4,480억 원)를 넘어섰다. 이는 이더리움이 단순히 개발자 생태계를 초월해 금융 시장의 기반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루빈이 기업 재무 및 이사회 안건에 이더리움을 도입하는 동안, 부테린은 기술 인프라를 강화하는 협력적인 역할을 통해 두 사람의 시너지가 더욱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은 ‘디지털 오일’이 아닌 차세대 금융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을 거듭하면서 기관 및 기업의 관심을 끌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