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선물 시장 긴축 조짐…반등 신호 보이나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최근 몇일 동안 8% 이상의 조정을 겪으면서, 선물 시장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눈에 띄게 감소해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바이낸스의 오픈이자(Open Interest, OI) 지표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이더리움 가격이 이미 바닥을 형성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조정은 지난 8월 말 약 4,950달러(약 6억 8,855만 원) 고점을 기록한 이후 시작되었으며, 암호화폐 분석가인 부락 케스메시(Burak Kesmeci)는 최근 보고서에서 “바이낸스의 OI 감소는 과거 가격 하락 직전의 선행 지표로 작용해왔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재 이더리움 시장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나고 있어 반등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3개월간 발생한 OI 급락 사례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했다. 예를 들어, 8월 17일에는 OI가 114억 달러에서 102억 달러로 약 10.52%(약 1조 6,680억 원) 감소했고, 8월 20일에도 130억 달러에서 97억 달러로 25.38%(약 4조 6,310억 원) 감소했다. 9월 13일에도 113.9억 달러에서 104억 달러로 8.69%(약 1조 4,070억 원) 감소하며 시세 조정의 전조 역할을 한 바 있다.

케스메시는 “현재 OI가 96.9억 달러(약 13조 4,640억 원)로 더 하락한다면 시장이 완전히 리셋될 것”이라며 “지금의 조정은 건강한 조정이며, 이는 추세적인 하락이 아닌 다음 상승을 위한 정화 과정”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선물 시장의 과열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어, 이더리움은 다음 단계의 랠리를 준비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더리움의 거래 가격은 4,487달러(약 6,223만 원)이며, 24시간 기준으로 0.8% 하락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3.9% 상승한 상태다. 주목할 점은 파생상품 시장에서 투기 심리는 줄어들고 있지만, 온체인 지표는 오히려 장기 투자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분석에 따르면, 이더리움 스테이킹 물량은 사상 최대치인 3,620만 ETH에 도달했으며, 거래소의 보유량은 수년 간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장기 보유를 선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국 내 현물 ETF를 통해 보유된 이더리움 양도 670만 ETH로 증가해 4월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보수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2025년 말 이더리움의 목표가를 4,300달러(약 5,977만 원)로 설정했으며, 이는 현재가보다 낮은 수준이다. 크립토퀀트의 분석가들은 “씨티가 거시경제 리스크와 규제 변수를 고려하여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은 현재 4,307달러(약 5,984만 원) 수준의 9월 바닥을 확실히 초과하고 있으며, 8월 고점 대비 9.3% 낮은 가격에 머물고 있다. 연초 대비 상승률은 여전히 96%에 달하는 상황으로, 기술적 조정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더리움의 중단기적인 흐름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설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