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약세장 속에서도 2,850억 원 유입…기관 투자자들의 저점 매수 활발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최근 전통 금융 시장의 혼란 속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신뢰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지난 주 동안 이더리움 기반의 투자 상품에는 약 2억 500만 달러(약 2,850억 원)의 자금이 유입되며, 주요 알트코인 중 유일하게 대규모 인플로우를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의 자산 운용사 코인셰어스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자금 유입은 기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 가격 하락을 기회로 삼아 전략적으로 저점 매수에 나선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2배 레버리지 상장지수상품(ETP)에서 4억 5,700만 달러(약 6,357억 원)의 큰 거래량이 발생했으며, 이는 시장 전반에 걸쳐 이더리움에 대한 회복 기대감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전체 디지털 자산 펀드 시장은 바이낸스의 유동성 위기 이후 조정세에 빠지며 총 5억 1,300만 달러(약 7,129억 원)의 자금 유출을 겪었다. 이 이슈로 인해 누적 유출액은 6억 6,800만 달러(약 9,289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레버리지 기반 투자상품에 비해 온체인 보유자들은 더욱 보수적인 접근을 취하는 추세다.

주간 ETP 거래량은 510억 달러(약 70조 9,000억 원)로, 연초 평균 거래량의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여전히 높은 수준의 기관 투자자 참여 덕분이라고 분석된다. 이더리움 외에도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이 이 흐름에 편승하고 있으며, 솔라나(SOL)와 리플(XRP)는 각각 1억 5,600만 달러(약 2,168억 원) 및 7,390만 달러(약 1,027억 원)의 유입을 기록했다. 이러한 흐름은 이들 프로젝트에 대한 ETP 신규 출시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수이(SUI), 에이다(ADA), 체인링크(LINK)도 각각 590만 달러(약 82억 원), 370만 달러(약 51억 원), 180만 달러(약 25억 원)의 소규모 인플로우가 발생하며 긍정적인 확산세를 이어갔다.

지역별 자금 흐름을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6억 2,100만 달러(약 8,629억 원)의 큰 자금 유출이 발생한 반면, 독일, 스위스, 캐나다에서는 각각 5,420만 달러(약 753억 원), 4,800만 달러(약 667억 원), 4,240만 달러(약 589억 원)에 달하는 자금 유입이 이루어져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호주(820만 달러, 약 114억 원)와 브라질(690만 달러, 약 96억 원)에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지만 인플로우가 발생하며 지역적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BTC)은 주요 디지털 자산 중 유일하게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하여 일주일 동안에만 9억 4,600만 달러(약 1조 3,159억 원)가 빠져나갔다. 연초 이후 누적 유입액은 293억 달러(약 40조 7,270억 원)로, 2024년 같은 기간 기록한 417억 달러(약 57조 9,630억 원)와 비교하면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숏 비트코인 상품에서도 소규모지만 90만 달러(약 13억 원) 규모의 유출이 확인되었다.

코인셰어스는 이러한 비트코인의 조정이 전통 금융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중심이 되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특히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