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최근 하락에도 온체인 지표는 여전히 ‘강세’…ETF 자금 유출에 주목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최근 단기적인 하락세에 직면했지만, 온체인 지표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금요일, 미국의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고, 이더리움은 하루 만에 5.2% 하락하며 약 6,265만 달러(약 869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롱 포지션이 청산되는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더리움의 향후 가격 전망에 대한 의견은 나뉘고 있으며, 일부 분석가들은 4,000달러(약 5,560만 원) 회복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 있다.

주요 선물 지표인 ETH 월물 프리미엄은 두 달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며 현물 가격 대비 5% 하회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강한 매수 베팅을 꺼리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백그라운드에는 미국 상장 이더리움 ETF의 상황이 있다. 최근 4일 동안 총 5억 500만 달러(약 7,015억 원)의 자금이 유출된 상황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자금 이탈이 단순한 하락세로 이어진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의 온체인 지표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거래량과 활성 주소 수 등의 중요 지표가 여전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이는 시장에서 회복세를 뒷받침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파생상품 시장의 조심스러운 포지셔닝과 대비되는 이러한 흐름은 투자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준다. 스테이블코인 이동과 옵션 기반 공포 지수에서도 과도한 우려보다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불안이 감지되고 있다.

결국, 이더리움의 최근 조정은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비트코인(BTC)과 유사한 단기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시장 구조에서 여전히 유효한 강세 흐름이 존재한다는 분석이 있다. 앞으로 ETH의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이어갈지는 거시경제 지표와 ETF 자금 흐름의 변화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자들은 이 두 가지 요인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향후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