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더리움(ETH)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투자자들의 활발한 매집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정체를 알 수 없는 한 기관이 크라켄(Kraken) 거래소에서 92,899 ETH, 즉 약 5727억 원을 인출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 기관은 최근 4일 동안 세 개의 새로운 지갑을 생성하며 이더리움을 대량으로 매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주체의 정체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어, 일부 투자자 사이에서는 기존 이더리움 보유 업체 중 하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현재 이더리움 시장의 주요 고래 중 하나로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가 주목을 받는다. 이 회사는 13억 개 이상의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시가로 약 7조 9,800억 원에 해당한다. 뒤이어 샤프링크(SharpLink)가 598,800 ETH, 코인베이스($COIN)와 비트디지털(Bit Digital)은 각각 136,782 ETH와 120,306 ETH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비트마인은 ETH 가격이 4,700달러에서 4,400달러로 하락하는 동안 추가로 10만 6,485 ETH를 매입했으며, 이는 하락 시장 속에서 공격적인 매수 전략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이더리움 재단은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루콘체인의 분석에 따르면, 재단은 최근 3일간 7,294 ETH를 매도하여 현금화했다고 한다. 이럼으로써 기관의 매수세와 재단의 매도세가 동시에 관측되며 이더리움의 단기 방향성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움직임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향후 이더리움 가격에 미칠 파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미확인 기관의 정체는 여전히 불명확하지만, 최근 고래들이 점점 더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이더리움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번 흐름이 중장기적인 이더리움 가격 상승의 기폭제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기관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더리움 누적 매수 전략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에 앞으로 이더리움 시장에서 발생할 변화와 투자자들의 전략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고래들의 움직임은 향후 이더리움의 가격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투자 전략 또한 수정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