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은 최근 3,300달러(약 455만 원) 지지선을 무너뜨리면서 약세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과도한 롱 포지션 청산 후에도 이더리움은 반등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이더리움은 일간 차트에서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했으며, 주요 수요 구역인 3,300달러선이 무너진 것도 주목할 만하다. 200일 이동평균선은 시장의 중장기 방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번 하락은 이더리움이 하락세로 전환될 초기 조짐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현재 상대강도지수(RSI)는 32로, 이는 반등을 위한 충분한 동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더리움이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3,500달러(약 483만 원)선을 돌파하여 이를 견고한 지지선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을 넘지 못할 경우, 가격은 3,000달러(약 414만 원) 지지선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4시간 차트에서도 악재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더리움은 하락 채널 하단에서 저항을 받으며 다시금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3,300달러선 아래에서 횡보하면서, 단기적으로 3,000달러를 향한 급격한 조정이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 퍼져 있다.
시장 심리 역시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최근 롱 포지션에서 대규모 청산이 발생했지만, 이는 단순히 단기 반등에 불과할 뿐 투자자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인 RSI 지표가 ‘과매도’에 가까워지면서 기술적인 반등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명확한 회복 신호가 없는 이상 대규모 매수에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더욱이 이더리움이 3,000달러 지지선마저 이탈할 경우, 연쇄적인 청산으로 인한 ‘플래시 크래시(급락)’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규모 포지션 청산은 시장의 변동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어, 투자자들은 가까운 시일 내 추가 하락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결국 이더리움은 수급 및 기술적 지표 양 측면에서 약세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향후 몇 일간 3,000달러 지지선 방어 여부와 3,500달러 회복 시도가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더리움의 현재 움직임은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을 예의주시해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