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은 최근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커졌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이더리움이 반등하기 위해서는 3,450~3,550달러 구간을 재탈환해야 한다.
현재 이더리움은 100일 및 200일 이동평균선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하락 채널 내에서 완만하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3,800달러(약 518만 원)에서 저항에 부딪히면서 매도세가 강화되고, 현재는 3,000~3,100달러(약 408만~422만 원) 수요대에서 안착한 상태이다. 이 구간은 중기 매수세가 집중된 영역으로, 상대강도지수(RSI)에서는 다이버전스가 나타나 단기적으로 하방 압력이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강한 기술적 반등을 위해서는 3,450~3,550달러 구간에 다시 진입해야 한다. 이 구간은 매도세가 집중된 ‘브레이커 블록’으로, 이를 회복하지 못할 경우 2,600달러(약 354만 원)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이 존재한다. 만약 이더리움이 일봉 차트에서 추세선 상단과 200일 이동평균선을 회복할 경우, 중간 트렌드 수준인 3,800달러 수요 구간까지의 반등 여지가 열릴 전망이다.
4시간봉 차트에서도 하락 패턴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더리움은 ‘폴링 웨지(falling wedge)’ 구조 내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3,550달러와 3,800달러의 공급지대에서 상승이 저지되고 있다. 현재 가격은 웨지의 하단부와 3,000달러 유동성 풀 상단에 근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캔들 하단 그림자(wick)가 긴 점은 매수세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3,350달러(약 457만 원) 수준의 회복 여부가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온체인 데이터 또한 비슷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2주간의 ‘리퀴데이션 히트맵’ 분석에 따르면, 3,600~3,900달러(약 491만~532만 원) 구간에는 대량의 숏 포지션 청산 지점이 집중되어 있어, 이 구간이 상승 전환 시 강한 유동성 자석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하방에서는 유동성이 적어, 하락이 있을 경우 일시적인 ‘스탑런(stop-run)’이 발생할 수 있겠지만 지속적인 매도 압력을 받는 경우는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은 현재 기술적으로 과매도 구간에 접어들고 있지만, 상승 추세의 반전을 위한 결정적인 사항이 결여되어 있다. 3,450달러 이상의 가격 회복이 이루어져야 본격적인 반등 국면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며, 그 전까지는 한정된 반등과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공존하는 시장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