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이 최근 중요한 가격 저항선인 3,600달러를 넘지 못하며 다시 한 번 새로운 매도 압력을 느끼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일봉 차트상 하락 채널 속에 갇혀 있고, 3,600달러 이상에서 지지 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단기적인 조정 여지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200일 이동평균선 부근인 약 3,300달러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 지점은 매수세와 매도세 간의 긴박한 대결이 펼쳐지고 있다. 만약 이더리움의 가격이 이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진다면, 3,000달러에서 3,100달러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구간은 과거에 강한 매수세가 형성된 영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반대로 이더리움이 3,600달러를 다시 돌파하게 되면, 상승세가 지속되며 3,900달러에서 4,000달러(약 524만~537만 원) 상향 전망이 열릴 수 있다.
단기적인 4시간 차트에 따르면, 이전의 상승 채널이 무너짐에 따라 하락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다. 3,450~3,500달러 구간은 이전에 지지선으로 작용했으나, 현재 이 지역은 저항선으로 변모해 하방 압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더욱이, 수급 지표인 RSI(상대강도지수)가 50선을 하회하며 에너지가 약화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추가 조정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경우 일봉 차트 중심선과 연계된 3,200~3,300달러 구간에서 단기 반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도 실패할 경우 3,000달러 초반으로의 극심한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청산 추세를 기반으로 한 심리 분석에서도 특히 흥미로운 지점이 포착된다. 3,800~3,900달러 위로는 공매도 포지션이 뚜렷하나, 3,000~3,200달러 아래로는 공매수 포지션이 밀집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격이 특정 방향으로 크게 움직일 경우 상당한 청산이 일어나며 급격한 변동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이더리움은 이 두 구간 사이에 꽉 갇혀 있으며, 향후 흐름은 유동성 청산을 계기로 큰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의 단기 조정은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3,600달러의 재돌파 여부가 향후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보수적인 접근을 요구받고 있으며, 향후의 시장 흐름에 주의 깊게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