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다시 상승 국면을迎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시장 분석가들은 올해 4분기에 8,000달러(약 1억 1,120만 원)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전망을 세우고 있다. 비록 이더리움의 가격은 최근 하락세를 겪었으나, 많은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조정이 장기적인 상승 이후의 재정비 과정일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 이더리움은 지난주 3,840달러(약 5,338만 원)까지 하락했지만, 최근 24시간 내에 약 2.4% 상승하여 4,110달러(약 5,713만 원)로 회복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정이 오히려 향후 더 큰 반등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Mr. Wall Street’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분석가는 “이더리움을 지금 매도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행동”이라며, 최근의 하락세가 오히려 가격 상승을 유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4분기에 이더리움의 가격이 최소 7,000달러(약 9,730만 원)에서 최대 8,000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특히, 지난 4월 1,500달러(약 2,085만 원)에서 바닥을 찍은 이후의 20% 정도 조정은 긍정적인 리셋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과거 강세장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로 이루어진 청산 사례들을 언급하며 현재 공매도 포지션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또한, 시장 전문가인 디젠 하디(Degen Hardy)는 “이더리움이 4,200달러(약 5,838만 원)를 넘는다면 공매도 포지션을 가진 투자자들은 심각한 청산 압박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를 하고 있다. 현재 ETH 가격 바로 위에는 약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 이상의 포지션이 쌓여 있으며, 이 가격대를突破하면 도미노식 청산이 발생하고 급격한 상승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전망을 뒷받침하는 고래 지갑의 활동도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6개의 고래 지갑이 크라켄, 갤럭시디지털, 비트고, 팔콘엑스, OKX 등 주요 거래소에서 총 431,018 ETH, 약 17억 3,000만 달러(약 24조 470억 원)를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 새로 생성된 지갑은 OKX에서 약 3,884 ETH, 1,557만 달러(약 21억 6,530만 원)를 이동시켰고, 이전에 5개월 전 1,857 ETH를 418만 달러(약 58억 200만 원)에 매도한 고래는 이번 주 월요일에 1,501 ETH를 617만 달러(약 85억 6,430만 원)에 재매입하여 시장의 투자심리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를 높이고 있다.
한편 시장 외적 요인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장기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매집하는 모습도 주목된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자료에 따르면, ‘노셀 지갑(no-sell wallets)’은 9월 24일 하루에만 40만 ETH를 신규 매입하며 역사적인 유입을 기록했다. 이는 일주일 전 120만 ETH의 대규모 누적 매입에 이어지는 흐름으로, 이들 지갑은 단 한 건의 출금도 없이 지속적으로 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갑의 정체가 기관투자자나 이더리움 ETF 관련 주체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