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4,100달러를 돌파하며 상승세 반전의 가능성 높아져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이 올해 세 번째로 저항선 역할을 했던 4,100달러(약 5,699만 원)선을 돌파하며 상승 추세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거래소 내 이더리움의 보유량이 연중 최저치인 1,650만 ETH로 감소하며 장기 보유 및 매집 성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4,100달러 저항선을 넘어선 후 해당 구간에서 지지력을 테스트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이 가격대에서 세 번의 하락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지지선으로 작용하면서 기술적 추세 반전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주요 기술적 차트 분석에 따르면 이후 목표가는 5,300달러(약 7,367만 원), 6,800달러(약 9,452만 원), 그리고 8,400달러(약 1억 1,676만 원)로 제시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제공업체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발표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거래소 내 보유량이 1,650만 개로 줄어들었다. 이는 1년 동안 가장 낮은 수치로, 보통 거래소에서의 자산 이탈은 매각보다는 보관 또는 스테이킹 의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의 감소는 매도 압력이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가격 반등의 기술적 근거도 여러 가지 발견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고점에서 약 16% 하락한 3,700~3,800달러(약 5,133만~5,282만 원) 구간에서 지지를 형성하고, 100일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반등 패턴을 보이고 있다. 트레이더 멀린(Merlijn The Trader)은 “지금이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 시점에서의 매수를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파생상품 시장에서 단기적으로는 공매도 성향이 우세한 상황이다. 최근 이더리움의 하락으로 인해 일부 자금이 청산되면서 오픈 이자(Open Interest)가 감소했고, 바이낸스 및 OKX 등의 거래소에서는 펀딩비(funding rate)가 음수로 전환됐다. 이는 레버리지 사용으로 숏 포지션에 비중을 두고 있는 투자자들이 균형을 잃었음을 나타내며, 향후 빠른 반등 시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 가능성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조심스러운 시각이 존재한다. 분석가 테드는 이더리움과 연관된 기업들의 주가, 예를 들어 샤프링크 게이밍과 비트마인 주가가 고점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어 주식 시장과의 디커플링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그는 “이들 주가가 회복되지 않으면 이더리움도 추가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기술적 및 온체인 지표에도 불구하고, 파생상품 시장과 주식 시장의 흐름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더리움이 4,100달러 지지선을 공고히 하며 실질적인 추세 반전을 노릴 수 있는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