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현재 4,200달러(약 5,838만 원) 선에서 중요한 지지선을 시험하고 있으며, 향후 가격 방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현재 이더리움은 약 4,300달러(약 5,987만 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아니면 심각한 조정 구간에 진입할지 이번 주의 흐름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일간 차트에서 이더리움은 여전히 상승 채널 내에 머물고 있으나, 모멘텀 약화 신호가 뚜렷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상대강도지수(RSI)는 가격이 고점을 높이는 과정에서 낮은 고점을 기록하며 약세 다이버전스를 나타냈다. 현재 가격은 상승 채널의 중간 지지선인 4,200달러 부근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으며, 과거에서도 이 가격대는 급등의 발판이 되었던 만큼 중요한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만약 이 지지선을 방어할 경우, 중기적으로 5,000달러(약 6,950만 원) 돌파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하방 이탈 시 3,800달러(약 5,282만 원)까지 후퇴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4시간 봉 차트를 살펴보면 추가적인 약세 구조가 보이는데, 단기 상승 흐름을 이끌었던 추세선이 무너짐에 따라 매수세가 한풀 꺾인 상태이다. 현재 이더리움은 좁은 박스권 내에서 횡보하고 있으며, 상단은 무너진 추세선이 저항 역할을 하고 하단은 채널 중심선이 지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압축 구간은 강한 방향성 움직임의 전조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만약 4,500달러(약 6,255만 원)를 넘지 못할 경우 하방 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시장 심리 역시 다소 냉각되고 있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이더리움이 4,900달러(약 6,811만 원) 고점을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투기 성향을 나타내는 펀딩비는 이전의 4,000달러(약 5,560만 원)대에 비해 낮은 수준에 그쳤다. 이는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강력한 레버리지 매수세가 붙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상승세에 대한 확신이 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격과 펀딩비 간의 괴리는 과거에도 단기 고점 후 조정에 따른 경향성을 보인 바 있다. 이더리움은 여전히 장기 상승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과도한 낙관론에 대한 경고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며칠간의 가격 움직임은 이더리움이 상승 모멘텀을 회복하며 5,000달러를 돌파할 것인지, 아니면 4,200달러 지지선이 무너지며 하방 압력을 겪을 것인지 결정짓는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