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4,950달러(약 6,881만 원)라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후 급격한 조정을 겪고 있다. 지난 24일, 이더리움은 대규모 청산 압력에 의하여 4%가량 하락하며 현재 4,500달러(약 6,255만 원)의 주요 지지선을 시험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 과정에서 하루 만에 약 7억 2,000만 달러(약 1조 158억 원)의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다.
이번 하락은 단순한 이익 실현을 넘어선 행동으로 분석되고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인 레너트 스나이더는 이더리움이 4,880달러(약 6,782만 원) 부근에서 유동성을 흡수한 뒤, 과도한 레버리지 포지션을 강제로 청산하면서 상승세의 기반을 무너뜨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이더리움은 4,500달러 수준을 지지선으로 삼고 있지만, 이 방어력이 약하게 보인다”며 “만약 이 지지를 실패할 경우 4,300달러(약 5,987만 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단기적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고래들의 행보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인 와이즈 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1주일 동안 약 16억 달러(약 2조 2,240억 원)의 이더리움이 고래 투자자들에 의해 매집되었으며, 이들은 4,590달러에서 4,760달러(약 6,380만 원~6,616만 원) 구간을 수요 완충지대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피보나치 0.5 구간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일정 수준의 가격 방어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크립토퀀트의 분석가인 ‘다크포스트’는 바이낸스에서 고래들이 지속적으로 이더리움을 매수 중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들의 전략은 시장 추세가 명확히 전환된 후 매수에 진입하는 것으로, 이는 가격 상승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고래들의 움직임이 시장의 반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계절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경계가 필요하다. 역사적으로 9월은 강세장 이후 조정이 자주 이루어지는 시기로, 코인글래스의 데이터에 의하면 올해도 이러한 계절적 약세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더리움이 4,500달러를 하회한다면, 추가 하락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은 현재 4,690달러(약 6,529만 원)에서 4,300~4,500달러의 좁은 가격대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4,693달러(약 6,531만 원)를 회복하는 것이 반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이 구간을 회복하지 못한다면 5,000달러 도전은 지연될 전망이다. 반면 피보나치 저항선인 4,950달러를 다시 돌파할 경우, 5,190달러(약 7,208만 원) 및 5,500달러(약 7,645만 원)까지 추가적인 상승 목표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