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가격이 5,000달러(약 6,950만 원) 선에 근접하면서 대규모 숏 포지션의 청산 가능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이더리움이 5,100달러(약 7,089만 원)를 초과하게 되면 약 52,430 ETH, 즉 2억 4,776만 달러(약 3,445억 원)에 해당하는 숏 포지션이 자동으로 청산될 전망이다. 이는 시장에 막대한 매수 압력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가상자산 분석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청산 포인트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현재 이더리움의 거래가는 4,718달러(약 6,560만 원)로, 숏 포지션이 집중된 가격대인 5,000~5,120달러 구간에 매우 근접해 있다. 이 가격대는 도미노처럼 작용할 수 있으며, 특정 가격을 넘어설 경우 연쇄 청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숏 스퀴즈 현상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명확하다. 가격이 임계점을 초과하면 관련된 포지션은 강제로 정리되며, 즉시 ‘시장가 매수’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가격 상승 속도가 가속화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이더리움은 최근 일주일간 약 10% 이상 상승하며 주요 저항 구간을 연달아 돌파하는 등 추가적인 급등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단순한 기술적 분석을 넘어서 심리적 전환점으로 간주하고 있다. 5,000 달러는 상징성과 심리적 경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가격대이며, 이 수준을 돌파하게 되면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 모두의 매수세가 대폭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2021년의 강세장에서 이더리움이 유사한 흐름을 보였던 경험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급등 시나리오가 그 당시의 상황과 유사하게 진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매일매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태다. 이더리움 가격이 단 300달러만 더 상승하면 숏 포지션 청산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급격한 시세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관측된다. 과연 이더리움이 일정 가격대 이상으로 급등할지, 아니면 숏 포지션 보유자들이 기존 전략을 고수할지 손절할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 새로운 가격 변화의 흐름에 주목하며, 향후 몇 주간 이더리움의 움직임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살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