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강한 상승세를 지속하지 못하고, 핵심 지지선인 약 582만 원(4,200달러) 구간을 하향 이탈하며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현재 기술적 지표들은 가격 방향성을 잃은 채 중립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며칠간의 가격 움직임이 중기 추세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일간 차트에서 이더리움은 여전히 상승 채널 내에서 활동하고 있으나, 최근 고점 대응의 저항에 부딪혀 582만 원 수준으로 후퇴하였다. 이 지점은 채널 중간값과 주요 주문 블록이 중첩된 중요한 위치로, 이 지지선이 방어되느냐에 따라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 현재 상대강도지수(RSI)는 약 52로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시장 방향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만약 이더리움이 582만 원선을 유지한다면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으며, 639만 원(4,600달러)를 돌파할 경우 사상 최고가 갱신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이 지지선이 무너지면 가격은 528만 원(3,800달러) 수준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4시간 차트에서는 매수와 매도 세력이 팽팽히 맞서고 있으며, 단기 상승 추세선이 이미 이탈된 상황이다. 그러나 이더리움은 여전히 중간 지지선 위에서 제한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재 582만 원에서 639만 원 구간에서는 박스권이 형성되었으며, 저항선 돌파 시도가 잇따라 실패하면서 매도 압력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582만 원선의 유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 구간이 붕괴될 경우 빠르게 하단의 유동성 밀집 지점으로 가격이 하락할 우려가 존재한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시장은 과열 상태에 있지 않지만 확고한 매수 세력도 없는 상황이다. 이더리움 무기한 선물 펀딩 비율은 여전히 소폭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차익 실현을 노리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말 ETH가 528만~556만 원(3,800~4,000달러)대에 있을 때 펀딩 비율이 0.04를 초과했던 반면, 2025년 8월 상승장이 진행되며 667만 원(4,800달러)으로 급등했을 당시 펀딩 비율은 0.025에 머물렀다. 이는 상승폭에 비해 레버리지 매수세가 약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시장의 열기가 과거에 비해 둔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현재 이더리움은 명확한 방향성을 찾지 못한 정체 구간에 갇혀 있다. 핵심 지지선인 582만 원(4,200달러)의 방어 여부에 따라 향후 시장 흐름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의 시장 움직임에 따라 추세가 확정된다면, 투자자들은 전략 조정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 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