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ETH) 가격이 3,500달러(약 476만 원) 선에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70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이 중앙화 거래소에서 출금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감소한 거래소 잔고와 고래들의 활동은 향후 가격 방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최근 몇 주 동안 지속적인 순유출 흐름을 보이며 거래소에서 대규모 물량이 빠져나갔다. 다른 자산의 일부 유입이 확인되었지만 규모가 작아서 전체적인 감소 추세를 변화시키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출이 장기 보유 전략이나 디파이, 스테이킹 등 온체인 활용의 결과일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단기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3,000~3,400달러(약 408만~462만 원) 구간에서 고래들이 적극적으로 이더리움을 매집하는 정황이 포착되었고, 이 가격대는 중요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분석가는 이 지지선이 유지된다면 4,500~4,800달러(약 612만~653만 원)선으로의 추가 상승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고래들의 반응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상위 23개 지갑은 최근 일주일 사이 일부 보유분을 매도하거나 분산하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매수와 매도세의 상충은 단기 가격 예측을 어렵게 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 이더리움은 현재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더 롱 인베스터’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기반으로 최종 상승 파동의 시작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200일 이동평균선 반등과 함께 하락 채널 상단을 돌파할 경우, 가격이 6,000달러(약 816만 원)를 초과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분석가 크립토위자드는 ETH 가격이 3,550달러(약 483만 원) 아래로 하락하여 주요 저항선에서 갇혀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2,800달러(약 381만 원)까지 하락할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반면, 3,640달러(약 495만 원)를 초과할 경우 3,890달러(약 529만 원)까지의 재상승도 가능하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현재 이더리움의 단기 흐름이 비트코인(BTC)의 방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시장 전반의 리스크 온·오프 추세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상적인 투자 심리는 조정과 반등 사이에서 치열하게 갈등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신중한 자세로 시장을 지켜보아야 할 시점에 와 있다. 향후 며칠간의 가격 움직임은 중기 추세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