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최근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온체인 데이터와 기술적 분석 지표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반등할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여러 고래 투자자들이 현재의 가격 하락 국면을 매수 기회로 삼으면서 다시금 상승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먼저, 거래소에 보관되고 있는 이더리움의 수량이 9년 만의 최저인 약 1,630만 개로 감소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많은 투자자들이 자산을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옮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시장 내 즉각적인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러한 감소가 매수 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시장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더불어, 기술적 지표인 상대강도지수(RSI)는 최근 22 수준으로 하락하며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RSI는 자산의 매수 및 매도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30 이하일 경우 가격 반등 가능성을 시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술적 신호는 차익 실현 이후의 주가 반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최근 고래 지갑의 활동도 주목받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가인 ZYN에 따르면, 24시간 이내에 10개의 신규 지갑이 20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을 매입하였고, 이는 약 8억 달러(한화 약 1조 1,120억 원)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이러한 대규모 매수는 유통량 감소와 함께 가격 하락에 대한 하방 지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자금 유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상반되고 있다. 분석가 레나르트 스나이더는 이더리움이 4,200달러(약 5,838만 원)를 회복해야 본격적인 상승 전환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그러나 3,900달러(약 5,421만 원) 지지선이 무너지면 3,700달러(약 4,843만 원)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반면, 기술적 분석가 테드(@TedPillows)는 단기적으로 3,800달러(약 5,282만 원)까지 되돌림이 기대되며, 이 수준을 유지한다면 추가적인 반등이 촉진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시장에서는 비관적 전망과 낙관적 전망이 혼재하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변곡점에 있는 상황이다. 수급 구조의 변화, 기술적 지표, 고래 투자자의 매수 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이 시점에서 이더리움이 다음 강세 국면으로 진입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