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의 가격이 4,200달러(약 5,838만 원) 선에서 반복적으로 저항에 부딪히며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기관 수요는 여전히 강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이번 주 초에 현물 기반 이더리움 ETF에 유입된 자금은 약 5억 4,700만 달러(약 7,603억 원)에 달하며, 이는 ETH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 관심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가격이 부진하고 온체인 활동이 감소하고 있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의 잠재력을 여전히 높게 평가하고 있다.
더불어 주요 채굴 기업들의 매입도 두드러지고 있다. 비트마인 이머전(BitMine Immersion)은 기존에 보유한 ETH의 규모를 약 106억 달러(약 14조 7,340억 원)로 확대하며, 전체 공급량의 5%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단기적인 수익성보다 장기적인 가치 상승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파생시장에서는 가격의 불안정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이더리움의 가격이 4,350달러(약 6,047만 원)를 초과할 경우 약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숏 포지션이 청산될 위험에 처해 있다. 이러한 청산은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투자자들은 작년 9월 13일 기록한 4,800달러(약 6,672만 원)의 고점을 돌파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득 차 있다. 당시 가격 상승은 메이저 업그레이드와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주를 이루었으며, 현재의 상황에서도 ETF 자금의 유입과 기관 수요가 가격 상승의 주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관 자금과 채굴 기업들의 매입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온체인 활동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 및 네트워크 활용이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이며, 단기적인 가격 반등을 이끌기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와 동시에 정치적 요인에도 주목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암호화폐적 입장이 더욱 구체화될 경우, 규제 부담 완화에 대한 기대감과 맞물려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과거 트럼프가 암호화폐를 캠페인 후원금으로 수용하겠다고 한 발언은 보수 성향의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투자의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더리움 시장은 단기적인 조정과 장기적인 상승 기대가 교차하는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향후 ETF를 통한 기관 자금의 유입이 실제 온체인 활성화로 연계되며 기존 투자 심리를 반등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ETH의 가격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새로운 모멘텀이 절실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