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RSI 과매도 상황에도 불구하고 반등에 대한 경고가 필요하다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의 상대강도지수(RSI)가 역사적으로 드문 과매도 구간에 진입하면서,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의 향후 반등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 중 일부는 현재의 RSI 수치를 강한 상승 신호로 해석하고 있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그러한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RSI는 자산의 가격 변동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수치가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로 간주되며, 상승 반전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최근 암호화폐 전략가인 퀸튼 프랑수아는 이더리움의 RSI 값이 “역사상 가장 큰 과매도 신호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가까운 시일 내에 강한 상승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현재 이더리움의 일간 RSI는 34로, 과매도 상태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중립 영역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투자인공지능 플랫폼 AInvest는 이 수치만으로는 반등을 예측하기에는 미흡하다고 강조하며, 강세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분석하였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RSI 수치가 30을 넘어설 때까지, 또는 이더리움 가격이 주요 저항선을 넘기 전까지 매수 신호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히 매수 결정을 내려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더리움의 기술적 지표 역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 않으며, 현재 주요 지지선은 3,800달러(약 5,282만 원)로 설정되어 있다. 3,900달러(약 5,421만 원)를 넘지 못하면 4,000달러(약 5,560만 원) 부근의 저항을 돌파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또한, 전문 기관 INVESTX는 거래량 감소세와 MACD 같은 모멘텀 지표의 하락세를 언급하며, 당장 이더리움의 상승 반전을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보고 있다.

비트코인(BTC)의 시장 점유율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이더리움과 같은 알트코인이 상대적으로 더 큰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측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트레이딩뷰는 거래소 펀딩비율이 감소하고 있어, 시장 전반의 낙관적인 심리가 다소 둔화됐음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시장에서 나타나는 이더리움의 RSI 하락은 단순한 반전 신호가 아닌 경고로 해석해야 하며, 확고한 기술적 흐름과 시장의 동조가 부재한 이상 강세 전환에 대한 확신은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의 조언이다. 현재 상황에서 이더리움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시점에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