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린테크 혁신을 선도하는 이도가 신재생 에너지와 데이터센터를 결합한 AI 인프라 사업 부문을 신설하며 새로운 성장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도는 27일 공식 발표를 통해 이 부문을 신재생 에너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데이터센터를 핵심으로 하는 차세대 성장 모델로 설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기존의 환경 및 자원 순환 중심의 사업 구조를 넘어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인프라 운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의 일환이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에너지 시장의 혁신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AI 인프라 부문의 주요 사업은 태양광, 풍력, 바이오 가스 등 신재생 에너지원의 발전소 운영, BESS 시스템 구축, 그리고 데이터센터의 효율화 및 전력 최적화이다. 이도는 발전, 저장, 소비 모든 과정을 AI가 실시간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자립형 스마트 에너지 플랫폼을 설계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이도는 향후 전력 구매 계약(PPA) 시장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AI 인프라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정훈 이도 대표이사는 “AI 인프라 부문은 신재생 에너지와 디지털 기술이 종합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며, “에너지 전환 시대에 발맞춰 기술 중심의 성장을 통해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도는 기업 공개(IPO)를 목표로 재정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비핵심 자산을 유동화하여 AI 인프라 사업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도의 재무적 안정성은 국내 1위 민자도로의 통합 운영 관리에서 발생하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 계약을 통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이도의 AI 인프라 부문 신설은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신재생 에너지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인 모델을 구축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마련하려는 의지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향후 에너지 산업의 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