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이 급격한 위축세를 보이고 있다. 지정학적 긴장의 고조와 주요 거래소 해킹 사건,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계정의 동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이란으로의 암호화폐 자금 유입이 지난해보다 두 자릿수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TRM랩스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이란으로 유입된 암호화폐 총액은 약 37억 달러, 즉 한화로 약 5조 1,430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수치다. 특히 그 가운데 6월에는 암호화폐 유입량이 50% 이상 감소했으며, 7월에는 무려 76% 이상으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수치는 이란 시장의 심각한 위축을 반영하고 있다.
올해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에 큰 타격을 준 주요 사건들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이란-이스라엘 간의 핵 협상 중단과 무력 충돌이 배경이 되며 둘째, 이란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노비텍스(Nobitex)의 해킹 사건이 있었다. 셋째, 테더(USDT)의 특정 지갑 주소가 동결된 것도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주요 거래소인 노비텍스는 이란 전체 거래량의 87%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올해 6월 해킹 사건으로 인해 약 9,000만 달러, 즉 한화로 약 1,251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이 해킹 사건은 트론(TRX) 네트워크를 경유한 USDT 거래와 관련된 것으로, 이를 통해 시스템 전반의 리스크가 심화되었다. TRM랩스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해킹은 친이스라엘 해커 그룹인 ‘프레데토리 스패로우’에 의해 자행된 사이버 공격으로, 이란 혁명수비대(IRGC)와 연결된 주소 및 제재 대상 단체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보 불안과 자금 동결 조치로 인해 사용자들이 거래소를 떠나는 현상이 급증했다. 특히 군사 충돌이 발생하기 직전인 6월 중순부터 노비텍스에서의 자금 유출이 150% 이상 증가하며 해외 KYC 미이행 거래소나 위험성이 높은 플랫폼으로의 유입이 급증했다. 더욱이 7월에는 테더가 추가로 노비텍스 및 IRGC 관련 지갑 42개를 동결하면서, USDT 대신 다이(DAI)나 폴리곤(MATIC) 등의 대안 스테이블코인으로의 유입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유튜브와 텔레그램을 통해 활동하는 이란 내 암호화폐 인플루언서들과 정부 지향 채널에 의해 촉진되었다.
이란 정부는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2025년 8월에는 암호화폐 거래 이익에 자본이득세를 부과하는 ‘투기 및 시세차익 과세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는 금, 외환, 부동산 등과 같은 다른 자산과 함께 과세 대상으로 분류될 예정이다.
한편, 이란은 국제 제재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암호화폐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중국 중개상을 통해 드론 부품이나 AI 하드웨어, 전기 장비 등을 암호화폐로 결제하는 구조가 자리 잡혀 있다. 이 과정에서는 위조 신분증을 통해 해외 거래소에 가입하는 등의 불법 KYC 우회 장치도 작동하고 있다.
이번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 급락은 단순한 경제적 침체를 넘어 지정학적 위기와 국내 산업 구조, 그리고 암호화폐 규제 간의 복잡한 충돌을 반영한다. 이란 내 디지털 자산의 현재와 미래는 단순한 수요나 기술 트렌드의 영향을 넘어서, 국제 정치와 공공 감시에 의해 좌우되는 복잡한 환경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