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일본 총리, 패전일 추도사에서 13년 만에 ‘반성’ 언급

[email protected]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월 15일, 패전일을 맞아 도쿄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주목받고 있다. 이 총리는 “전쟁의 참화를 결단코 되풀이하지 않겠다”며 “그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이제 다시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발언은 일본의 패전 80주년을 맞아 이뤄진 것으로, 그동안 일본 총리들이 이 자리에서 이웃 나라에 대한 피해 언급을 자제해온 상황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이시바 총리가 ‘반성’이라는 단어를 언급한 것은 13년 만으로, 이는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재임 이후 이어져 온 반성의 표현 금지 관행을 깨는 것이다. 그는 일본이 지난 80년간 평화 국가로 자리매김하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힘써왔다고 강조했지만, 일본의 침략 전쟁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이웃 나라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패전일에 이웃 나라의 아픔을 언급하며 사죄의 뜻을 전해왔으나, 아베 총리가 주도한 현재 정치 환경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사라졌다. 호소카와 모리히로 전 총리는 1993년 패전일에 아시아 인근 국가들에 대한 피해를 처음으로 언급하며 애도의 뜻을 표명했으나, 아베 총리 재임 이후 이와 같은 발언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가 요시히데와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또한 이러한 기조를 이어받았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각의 담화를 발표하지 않았다. 원래는 패전 80주년을 맞아 총리 담화를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옛 아베파를 포함한 자민당 내부의 보수세력 반대를 고려하여 이를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시바 총리는 개인적인 메시지를 만드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지지만, 내부 반발로 인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본 총리들은 통상 패전일 무렵 10년 간격으로 각의를 거쳐 담화를 발표해 왔으며, 이러한 담화들은 전후 reconciliation의 중요한 사례로 여겨져 왔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전후 50년 담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는 전후 60년 담화에서 각각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표명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 속에서 이시바 총리의 발언은 향후 일본의 대외 감정 및 역사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해외에서 역사 문제에 보다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일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주장을 고수할 것인지는 앞으로의 정치적 행보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