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글로벌 증시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특히 3일 일본 도쿄증시에서는 닛케이지수가 전일 대비 1.85% 상승한 4만5769.5를 기록하며, 지난달 25일 세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서는 성과를 올렸다. 이와 동시에 2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도 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 속에서도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등 주요 지수들이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역사적인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글로벌 주요국 증시에서는 AI 관련 주식이 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의 코스피 지수도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 증시에서는 오픈AI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하고 있는 소프트뱅크의 주가가 전일 대비 3.6% 상승했으며, 반도체 장비 및 소재업체인 히타치는 9% 넘는 급등을 보였다. 또한 도쿄일렉트론과 어드반테스트의 주가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대만 증시에서도 성과가 두드러진다. 세계적인 파운드리 기업 TSMC와 팹리스 기업 미디어텍의 주가가 각각 2~3% 상승하며 AI 관련 산업의 강력한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과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의 주가가 1~3% 오르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AI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원전 관련 주식들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클로는 11%, 뉴스케일파워는 7% 각각 급등하는 등 원자력 관련 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모건스탠리는 이러한 과열 조짐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그들은 “AI 설비 투자 열기가 식을 경우, 현재의 강세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미 시장이 과열 국면에 들어섰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향후 AI 관련 사업의 추세가 어떻게 전개될지가 큰 변수가 될 것임을 내다보고 있다.
현재의 증시 상황은 AI의 혁신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들이 이에 발맞추어 투자 및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향후 각국의 경제 정책과 AI 관련 기술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질지가 글로벌 산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에게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