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비트코인을 국가 준비자산으로 채택 고려…국영 채굴 논의도

[email protected]



인도네시아 정부가 비트코인(BTC)을 국가 준비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갔다. 최근 부통령실과 ‘비트코인 인도네시아’ 간의 고위급 회의에서 비트코인 채굴 및 보유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회의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비트코인을 디지털 시대에 맞는 경제적 헤지 수단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비트코인 인도네시아 측은 글로벌 암호화폐 채택 증가에 따른 주요 국가들의 준비자산 구성 변화를 소개하며, 비트코인 채굴과 보유가 국가 경제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2045년 독립 100주년을 맞아 장기적인 국가 경제 목표와 관련된 비트코인 활용 전략도 제안되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외환보유 구성은 금, 미 달러, 국채 등의 전통적인 자산에 의존하고 있어, 비트코인을 보유 자산에 추가할 경우 엘살바도르와 부탄과 같은 국가들처럼 디지털 자산의 공식 편입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

엘살바도르는 이미 6,000 BTC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탄은 대규모 국영 채굴시설을 통해 비트코인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은 인도네시아의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는 올해 들어 약 20만 BTC(약 2조 7,800억 원) 규모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을 보관 중이며, 텍사스주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는 자체 준비금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파키스탄도 잉여 에너지를 활용하여 비트코인 채굴에 나설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가 대규모 비트코인 매입에 나서기보다는 소규모 보유 또는 국영 채굴 사업을 시험함으로써 점진적인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의 확장을 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정부 내부에서는 아직 교육과 정보 공유가 필요한 단계에 있지만, 주요 정책 결정자들이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만큼 향후 방향성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의 비트코인 채굴을 통한 준비자산 디지털화 전략은 글로벌 경제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는 동남아시아 내에서의 국가 디지털 자산 정책 경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아시아 국가 중 암호화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는 신호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