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가계의 금 자산, 사상 최고 금값 속에서 3조8000억달러 이르러

[email protected]



최근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인도의 가계가 보유한 금 자산의 가치가 약 3조8000억달러에 달한다고 모건스탠리 보고서가 발표했다. 이는 인도 경제에 긍정적인 부의 효과를 미치며, 금이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인도 사회와 문화 전반에 뿌리내린 자산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인도 가계의 금 보유량은 약 3만4600t에 달하며, 이는 중국의 민간 보유량인 1만2349t의 세 배에 해당한다. 이러한 금 보유량은 미국 중앙은행의 보유량(8133t)이나 독일(3350t)과 같은 주요 국가들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인도 중앙은행 보유량인 880t의 39배에 달한다. 이러한 수치는 인도가 얼마나 금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금은 인도의 문화와 종교, 사회적 관습에 깊숙이 뿌리내려 있으며, 가계는 이를 장기 저축 수단으로 활용하고 비상시 재정 안전망으로 간주한다. 결혼이나 축제 같은 특별한 날에는 금을 선물로 주고받는 풍습이 있어 세대 간 부의 이전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는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금 장신구를 구매했으며, 그 양은 560t에 이른다. 금괴 구매량도 240t에 달하며, 매년 약 1000만 건의 결혼이 이뤄지는 인도의 결혼 문화는 엄청난 금 수요를 지탱하고 있다.

결혼식 관련 수요만 하더라도 연간 300~400t 규모에 이르며, 인도의 자체 금 생산량은 2022년 기준으로 1t에 불과하다. 금의 대부분은 700t 이상을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인도의 금 소비는 국제 수급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인도의 가계 자산 구성에서도 금의 비중은 두드러지며, 주식이 전체 자산의 6% 미만인 반면, 금은 약 15%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금을 담보로 한 대출 시장도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기준 인도 내 금 담보 대출 건수는 68%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증가율인 12.7%의 5배를 넘는 수치로, 인도의 금 담보 대출 시장의 급성장을 잘 보여준다.

모건스탠리는 금값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가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사이클 및 정부의 소비세 완화와 맞물려 인도 소비 여력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도의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불확실한 세계 경제 환경 속에서도 인도의 금 수요와 자산 가치는 더욱 주목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