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법원이 뉴델리와 수도권의 떠돌이 개를 8주 안에 전량 수거하라는 전격 명령을 내렸다. 이번 조치는 중성화된 개도 방생을 금지하는 초강경 조치로, 총 100만 마리에 달하는 개들이 거리에서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견병과 관련된 개 물림 사고의 심각성을 감안한 결정이다.
11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인도 최고법원은 뉴델리와 그 주변 지역에서 모든 떠돌이 개를 거리에서 제거하고 보호소로 이송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법원은 “광견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 물림 피해가 심각하다”며 8주 안에 작업을 완료할 것을 요구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는 세계 광견병 사망자의 36%를 차지하고 있어 심각한 상황임을 알리고 있다.
현재 뉴델리에 있는 떠돌이 개는 약 100만 마리로 추정되며, 인근 도시들에서도 개체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법원은 최소 5000마리의 개를 수용할 수 있는 보호소를 신속히 설치할 것을 요청했다. 각 보호소는 중성화 및 백신 접종 장비를 갖추고, CCTV 설치도 요구된다. 더불어, 중성화된 개도 공공장소에 놓아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게다가 개에게 물린 사고와 광견병 신고를 위한 전용 핫라인도 1주일 이내에 개설해야 한다.
하지만 동물 보호 단체들은 법원의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동물 권리 단체 PAWS의 창립자 닐레쉬 바나게는 “대부분 도시의 수용 능력이 필요한 양의 1%에도 못 미친다”며, “진정한 해결책은 백신 접종, 중성화, 그리고 쓰레기 관리 등 기존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지적은 현행 조치가 과연 실제로 효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인도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 물림 신고 건수는 370만 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WHO는 인도에서 매년 1만8000명에서 2만명이 광견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하지만, 인도 정부의 공식 집계는 지난해 54명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실제 사망자 수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경고하며, 이러한 비극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법원과 정부의 조치가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하며, 또한 동물 복지와 공공 안전이 함께 고려된 실효성 있는 정책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