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케랄라주에서 발생한 아메바성 뇌수막염, 올해 19명 사망

[email protected]



인도 남부 케랄라주에서 아메바성 뇌수막염으로 인해 올해에만 19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 현재 이 감염증의 치사율은 95%에 달하며,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예방이 가장 중요한 방어책으로 강조되고 있다. 보건 당국은 최근 두 건의 사망 사례에 대한 확진 소식을 전하며,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케랄라주에서는 이달 들어서만 9명이 아메바성 뇌수막염으로 사망했으며, 보건 당국은 이들의 발병 원인이 무엇인지 여전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18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티루바난타푸람 출신의 52세 여성과 콜람 출신의 91세 남성이 각각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사망하고 아메바성 뇌수막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로 인해 올해 총 사망자는 19명에 달하게 됐다.

사망한 이외에도, 아쿨람 수영장에서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17세 소년이 중환자실 치료 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와 함께 수영했던 세 친구는 증상 없이 관찰 중이다. 현재 이들 8명은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감염된 소년과 관련해 수영장 물 샘플도 채취되어 공중보건연구소로 보내졌다.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초래하는 원인은 ‘네글레리아 파울러리(Naegleria fowleri)’라는 아메바로, 이는 따뜻한 민물에서 발견되며 수영이나 다이빙을 통해 인체에 침투한다. 감염이 진행되면 뇌 세포를 파괴하며, 극심한 두통, 고열, 환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오염된 민물로부터 감염의 위험은 있지만, 단순히 물을 마시는 것만으로는 감염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 아메바는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을 먹이로 삼으며, 대장균 수치가 높은 곳일수록 더 큰 감염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소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으로 여겨진다.

치사율이 매우 높은 이 감염병은 인도 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미국 남부, 파키스탄, 호주 등에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1962년 이래로는 488건의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사망자는 대부분 미국, 파키스탄, 호주에서 발생했다. 더욱이 2016년 이후 케랄라주에서의 발병 사례는 매년 한두 건 정도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자도 대부분이기에 전문가들은 예방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치명률이 높아서 치료보다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당국은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감염 확산 방지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케랄라주의 상황은 단순한 지역적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우리 모두가 주의를 기울이면서 예방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