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도 항공사고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10년간 지구 온난화로 인해 가창오리의 개체 수가 20배로 증가하면서, 항공기와 조류 간의 충돌 위험이 더욱 높아진 것이다. 특히 일본은 관광 산업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이러한 사고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024년 일본 내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건수는 1,647건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는 2011년의 데이터 수집 이후 다섯 번째로 높은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제외하면 최근 10년간 매년 약 1,500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항공편이 회복되면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에서 버드 스트라이크가 증가하는 배경에는 가창오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가창오리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일본으로 날아온 개체 수는 14만7,313마리로, 2015년에 비해 20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은 러시아에서 번식하며 겨울을 일본에서 나는데, 필자가 주목한 점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시베리아의 얼음이 빨리 녹아 번식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작년 1월 시마네현 이즈모 공항 상공에서는 제주항공 여객기가 가창오리 10마리와 충돌해 결항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일본 내 많은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공항 근처에서 확인된 가창오리 무리들은 더욱 심각한 안전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승객과 승무원 179명이 사망한 대참사로, 조사 결과 버드 스트라이크가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 사고 현장에서 가창오리의 혈액과 깃털이 발견되면서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일본 국토교통성은 ‘조류 충돌 방지 계획 가이던스’를 개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문제 조류’ 24종에 가창오리를 포함시켰으며, 공항 부지 내 서식 억제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일부 공항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조류를 감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항공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히구치 히로요시 도쿄대 명예교수는 “일본에서는 아직까지 버드 스트라이크가 대형 사고로 이어진 사례는 없다”라며 “종, 지역, 날씨에 따라 조류의 행동을 파악할 수 있는 생태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안전한 비행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앞으로 더욱 철저한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