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중앙은행(BOJ)은 30일 기준금리를 0.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일본의 경제에 대한 미국의 관세 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최근 출범한 다카이치 사나에 내각과의 정책 조율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BOJ는 이날 이틀간 진행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 정책금리를 변동없이 유지하기로 하면서 금리 정책의 일관성을 보여주었다. 지난 1월 BOJ는 정책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했으나, 그 이후 6차례 회의에서 모두 금리 동결을 결정하며 안정적인 경제 환경을 유지하고자 했다. 회의에서 정책위원 9명 중 2명은 금리를 0.75%로 인상해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이안은 부결됐다.
BOJ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최근 간담회에서 “실질금리가 극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으며, 과도한 고용 및 소비 위축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세계 경제의 둔화가 내년 임금 인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으로 경제 지표 발표가 중단되면서, 미국 경제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BOJ는 정책 방향을 조정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는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를 계승하겠다고 밝히며, ‘적극 재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금리 인상에 부정적 입장을 취했던 것을 감안한 결정으로 보인다.
일본 경제의 동향을 살펴보면, 시장 참여자들은 BOJ가 오는 12월에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보고 있다. 따라서 향후 BOJ 내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견해가 얼마나 확산될지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BOJ는 3개월마다 발표하는 ‘경제·물가 정세 전망’ 보고서도 함께 발표했는데, 2025년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6%에서 0.7%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7%로 유지되었고, 2026년도와 2027년도 GDP 성장률 전망은 각각 0.7%, 1.0%로 변동이 없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기존과 동일한 1.8%와 2.0%로 재확인했다. BOJ는 여전히 2% 물가 목표 달성을 2026년도 후반에서 2027년도 사이에 예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