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암호화폐의 채택률이 지난 1년 동안 12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2025 암호화폐 지리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6월부터 2024년 6월까지의 1년 동안 일본의 온체인 수신 가치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며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내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체이널리시스 아시아태평양 정책 책임자 청이 옹(Chengyi Ong)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암호화폐 활동 증가는 글로벌 시장에서 나타나는 주요 흐름과 일치한다”고 전하며, 2024년 4분기에 미국 대선 이슈로 인해 거래량이 급증한 후 안정세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본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미국의 경제적 여파를 받으며 시장 심리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일본에서 암호화폐 시장 활성화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제도적 변화다. 최근 일본 정부와 금융청(FSA)은 스테이블코인과 기업형 토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거래소의 상장 심사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암호화폐 친화적인 정책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자 유입과 레저 네트워크 활성화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분석된다.
일본의 중견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뱅크(Bitbank)도 이러한 성장세를 체감하고 있다. 아츠시 쿠와바라(Atsushi Kuwabara) 최고 사업 개발 책임자는 코인텔레그래프에 “올해 8월까지 신규 및 재방문 이용자 모두에서 플랫폼의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이러한 트렌드가 단기적인 반등을 넘어 구조적인 변화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외부 요인인 미국 대선도 일본 암호화폐 시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암호화폐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을 표명함에 따라 글로벌 시장 전반에 낙관론이 퍼지고 있으며, 일본 역시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활성화되고 있다.
체이널리시스의 이번 보고서는 일본이 아시아 내에서 독보적인 회복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제도와 수요 측면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일본의 암호화폐 채택률과 시장 활성화는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